세를 주고 있는 임대가구의 평균 부채 규모가 1억9000만원 정도로 파악됐다. 이들은 소득의 40%를 대출금 갚는데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임대가구와 비교해 임대가구의 단기·일시상환 대출 비중이 높아 부채구조가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임대가구는 지난해 기준 328만 가구로 추산된다. 전체 가구(1969만 가구)의 16.7%다. 임대보증금 부채 또는 임대소득이 있는 임대부동산(주택, 상가, 오피스) 보유 가구를 대상으로 산출한 수치다.
임대가구 중 금융부채가 있는 가구의 비중은 59.5%였다. 부채 총액은 372조4000억원으로 가구당 1억9000만원에 달했다. 이는 비임대가구의 부채액(7000만원)보다 2.7배 많다. 이렇다 보니 소득의 상당액이 빚 갚기에 투입된다. 임대가구의 DSR(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은 지난해 기준 40.8%로 비임대가구(28.4%)를 웃돌았다. 금융자산에서 금융부채가 차지하는 비율 역시 106.0%로 비임대가구(80.9%)보다 높다.
또한 임대가구는 만기 1년 이내 단기(26.9%) 및 일시상환(35.3%) 대출 비중이 높았다. 상가나 오피스 등 비주택 임대가구(단기 36.1%, 일시상환방식 40.6%)에 개인사업자 대출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급작스런 경기 악화 등으로 채무 상환에 차질을 빚을 위험성이 크다. 금융부채를 안고 있는 임대가구의 6.8%(약 13만2000가구)는 유동성 측면에서 취약한 것으로 파악됐다. 원리금 상환액이 연간 처분가능 소득보다 많고 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많은 경우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