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건축 투어’ 성지로 뜬 영주… 매년 1500여명 벤치마킹 발길

입력 2019-03-28 04:01
‘공공건축 투어의 성지’로 부각된 경북 영주시에는 벤치마킹을 위해 전국에서 매년 1500여명이 찾고 있다. 사진은 영주시 노인복지관 내·외부. 영주시 제공

경북 영주시가 국내 최초로 도입한 ‘공공건축가제도’가 도시 외관과 기능을 바꾸는 것은 물론 주민의 만족도까지 높이고 있다. 최근에는 전국 곳곳에서 벤치마킹을 위해 영주를 찾으면서 ‘공공건축 투어의 성지’로 부각되고 있다.

영주시는 2007년부터 국토연구원 부설 연구기관인 건축도시공간연구소의 제안을 받아 ‘공공건축·공공공간 통합 마스터플랜’을 만들었다. 2009년 전국 최초로 ‘공공건축가제도’를 도입했고 2010년 디자인관리단을 출범시켜 공공건축과 공공디자인 중심의 정책 설정과 실천으로 주요 거점사업을 만들며 창의적인 도시재생 사례를 만들었다. 서울시보다 공공건축가 제도를 먼저 도입한 것이다.

영주시의 공공건축과 도시재생은 첫 사업기획부터 시설조성과 운영 등 전 과정에 지역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지역주민이 주도하고 지자체와 정부가 지원하는 주민참여와 협치의 대표적인 모델로 꼽힌다. 시장 교체 등과 상관없이 이 제도가 꾸준히 지속되면서 지난 7년간 526억원의 국비를 확보했다.

이를 통해 건립된 공공건축물들은 각종 건축상을 휩쓸면서 주가가 상승했다. 도시재생과 그에 맞는 공공건축 정책은 도시 전체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대표적인 건물이 영주 노인복지관이다. 노인복지관은 철도시설로 단절된 삼각지 지역에 직선의 아름다움을 살린 건물로 재탄생해 노인복지는 물론이고 세대 간 소통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유휴공간으로 남아있던 옛 경상북도립공공도서관 역시 공공성과 장소성을 회복시켜 세대 간 소통공간과 사회적 공유경제를 활성화 할 수 있는 주민밀착형 공유공간으로 조성됐다.

이로 인해 낙후됐던 시 전체에 활기가 돌기 시작한 것은 물론이고 영주시의 공공건축 정책을 배우기 위해 전국 지자체들의 벤치마킹도 줄을 잇고 있다. 영주의 성공이 알려지면서 다른 지자체 공무원들을 비롯해 매년 1500명 이상이 공공건축 투어를 위해 이곳을 찾고 있는 것이다.

지난 7일 영주를 찾았던 이낙연 국무총리는 “영주시가 성공적으로 도입한 총괄건축가, 공공건축가제도를 전국으로 확산시키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장욱현 영주시장은 “공공건축물이 아름다울 뿐 아니라 이용하기도 편리하게 설계돼 이용하는 시민들의 만족도가 높고 도시 이미지가 바뀌고 있다”며 “다양한 관광자원과 함께 도심의 근대역사문화 거리와 공공건축물을 연계해 관광코스로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영주=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