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사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참석해 “미세먼지 추경 외에 경기 대응을 위한 추경을 함께 검토 중이며 ‘조 단위’ 규모가 되지 않을까 한다”며 이르면 다음 달 국회에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정부가 추경에 쓸 수 있는 여윳돈은 약 1조~2조원으로 추정된다. 국제통화기금(IMF) 권고대로 10조원에 이르는 규모의 추경을 편성하려면 최소한 8조원의 국채 발행이 불가피하다.
국채 발행 방법은 두 가지다. 올해 99조6000억원의 국고채 한도(순증+상환) 가운데 순증용 적자국채 한도 33조8000억원을 추경에 필요한 만큼 늘리는 게 첫 번째다. 다른 방법은 국채 발행 한도 자체를 건드리지 않고 상환용 한도를 활용하는 것이다. 올해 상환용 국채 발행 한도는 57조1000억원이다. 바이백(조기상환)으로 불리는 상환용 한도에는 만기도래용과 시장조성용이라는 두 개의 주머니가 있다. 만기도래용은 시기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추경 재원으로 쓸 수 있는 주머니는 ‘시장조성용’이다. ‘국채발행 후 국채상환’으로 시장에 나와 있는 국채를 교체하거나 만기를 분산시키는 시장조성용의 한도는 대략 17조~18조원이다.
두 방법 모두 국가채무를 늘린다. 그럼에도 정부 안팎에서 바이백 이용법이 거론되는 건 시장에 가해질 충격 때문이다. 적자국채 한도만 늘리면 총 국고채 한도(99조6000억원)가 그만큼 늘어 시장에 신규 국채가 많이 풀린다. 반면 바이백 한도를 끌어다 쓰면 총 한도를 덜 늘릴 수 있다. 정부는 ‘대규모 빚내기 추경’이 편성된 2009년(28조원), 2013년(17조원)에 바이백 한도를 10조원 미만으로 활용했었다.
다만 바이백 한도를 다 쓰기는 어렵다. 시장에 혼선을 줄 수 있어 적자국채와 바이백 한도를 적절하게 조합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국채 발행 방안은 추경 규모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종=전슬기 기자 sgjun@kmib.co.kr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