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부터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이 신규 규제오염물질로 지정되는 가운데 부산시가 전국 광역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벤조피렌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인다.
시는 4월부터 아스콘 제조시설에서 발생되는 환경오염물질로 인한 피해 예방을 위해 관내 아스콘 사업장 9곳에 대한 벤조피렌 실태조사에 착수한다고 26일 밝혔다.
벤조피렌은 세계보건기구의 산하기관인 국제암연구소(IARC)에 의해 1군 발암물질(암 발생과의 상관관계가 명백히 확인된 물질)로 지정돼 있다. 석탄의 증류과정이나 차량 운행 시, 쓰레기를 소각할 때 주로 발생한다.
시는 아스콘 제조시설에서 발생하는 벤조피렌 등에 대한 연구계획을 바탕으로 4월부터 오염 물질 배출실태 및 주변지역 영향조사를 시·구·보건환경연구원 합동으로 추진한다. 대상 사업장은 민간 사업자 8곳과 시 건설안전시험사업소 1곳까지 9곳이다. 아스콘 제조시설의 환경관리 실태조사와 함께 환경법 저촉여부 등도 지도·점검한다.
최대경 시 환경정책실장은 “전국 17개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가운데 부산 등 3곳에서만 배출시설의 벤조피렌 분석능력을 갖추고 있다”며 “실태조사와 함께 아스콘 제조시설의 대기오염 방지시설 운영기술도 지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부산, 내달부터 발암물질 벤조피렌 실태조사
입력 2019-03-26 2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