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발생한 경북 포항 지진과 관련한 단체들이 난립해 시민들이 혼선을 빚고 있다. 창구 단일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5일 포항시 등에 따르면 포항 11·15지진 범시민대책위원회(대책위), 포항지진범시민대책본부(범대본), 포항시민대책위원회, 한미장관맨션지진피해비상대책위원회, 흥해완파주택공동대책위원회 등이 결성돼 저마다 활동 중이다. 하지만 시가 정확한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할 정도로 관련 단체가 난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은 벌써부터 지진 배상을 놓고 헤게모니 싸움 양상을 보이고 있다. 관련 단체들이 뿔뿔이 흩어져 정부 대응을 하는 상황이어서 시민들의 혼란이 가중되는 데다 자칫 지역 민심이 분열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온다.
지난 23일 포항지역 50여개 단체가 참여한 대책위가 발족됐지만, 시민 1200여명과 정부를 상대로 소송 중인 범대본은 참여하지 않았다. 범대본은 성명서를 내고 그동안 묵묵히 봉사해 온 단체들을 배제한 채 관변단체 중심의 지진대책기구를 설립한 것을 규탄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이외에도 피해를 본 아파트마다 별도의 소송단이 꾸려지는가 하면 제각각 청와대 국민청원, 특별법 제정 국민서명운동을 벌이는 등 포항은 벌집을 쑤셔놓은 듯하다. 그럼에도 이들 단체는 ‘포항 11·15지진 피해배상 및 지역 재건 특별법’ 제정에는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특별법이 제정돼 배상·보상 내용이 구체화된다면 굳이 소송이란 복잡한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포항시 관계자는 “포항시는 대책위를 중심으로 대정부 창구 단일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하지만 단체들이 모두 단일화에 나설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 2017년 규모 5.4의 포항 지진을 촉발한 것으로 지목된 지열발전 상용화 기술개발 사업과 관련해 감사원에 공익감사를 요청했다고 이날 밝혔다. 지열발전 상용화 기술개발 사업의 진행과 부지선정 과정이 적절했는지 철저하게 조사해 포항 지열발전을 둘러싼 각종 의혹을 해소하겠다는 취지다.
산업부는 “지열발전 상용화 기술개발 사업의 진행과정 등을 자체 조사했지만 엄정한 진상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산업부가 청구한 공익감사는 앞서 포항 시민들이 청구한 국민감사와 별도로 진행될 예정이다. 산업부는 감사원 감사를 지원하기 위해 지열발전 기술개발 사업을 중단하고 현장을 원상복구할 방침이다. 포항 시민과의 소통을 전담하는 조사지원단도 운영할 예정이다.
포항·세종=안창한 전성필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