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에 발생한 KTX 오송역 인근 열차 단전사고의 원인은 부실 시공과 감리로 드러났다.
충북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25일 절연 조가선을 부실시공해 전차선 단전사고를 유발한 혐의(업무상과실기차교통방해)로 현장 감리 A씨(63)와 시공업체 작업자 B씨(49) 등 4명을 불구속입건해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경찰 조사 결과 B씨는 KTX 오송역 단전 사고일인 지난해 11월 20일 오전 0시50분에서 4시30분 사이 절연 조가선 교체 작업을 부실하게 한 혐의를 받고 있다. 조가선은 전차선을 수평으로 유지하고 지탱하는 전선이다.
B씨는 작업 시간을 줄이기 위해 접속 슬리브 압착 시공을 하면서 설계 도면상 규격과 다르게 시공을 했다. 설계 도면상 피복은 77㎜를 제거해 삽입하고 압착 두께는 25㎜를 유지해야 했다.
하지만 B씨는 피복 54.5㎜를 제거해 삽입했고 압착 두께는 25.23㎜∼26.87㎜로 규격에 미달하는 시공을 한 정황이 드러났다.
A씨와 시공업체 대표 C씨(43) 등 3명은 규격과 다르게 제작한 접속 슬리브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공사현장에 반입하도록 해 관리·감독을 소홀히 한 혐의다.
코레일은 사고와 관련해 공사 시행 주체인 충북도와 시공업체 등에 열차와 시설, 영업 피해 등 전액에 대해 구상권 청구를 검토하고 있다. 당시 사고로 열차 120여대가 최장 8시간까지 지연 운행됐다.
청주·대전=홍성헌 전희진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