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2위인 유럽연합(EU) 자동차시장이 친환경·자율주행차를 중심으로 재편된다는 관측이 나왔다. 한국도 자동차 및 연관 산업에 대한 연구·개발(R&D) 투자를 늘리고, 산업 간 협업을 강화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 조사국 최다희 과장과 고종석 조사역은 24일 해외경제 포커스에 게재한 ‘EU 자동차시장의 중장기 발전 방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디젤 게이트 이후 EU 자동차시장에서 구조 변화 요구가 확대되고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친환경차와 자율주행차를 중심으로 재편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디젤 게이트는 2015년 폭스바겐그룹이 전 세계에 판매된 디젤차 1100만대의 배기가스 배출량을 조작한 사건이다. 이후 EU 국가에서 환경 및 안전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내연기관 자동차(휘발유차, 경유차)가 뼈대를 이루는 시장구조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동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기에서 얻는 전기차로의 전환에 속도가 붙는 중이다.
주요 완성차 기업들의 전기차 생산계획에 따르면 향후 EU 전기차 비중은 2017년 1%대에서 2030년 20~3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 EU는 자율주행차 기술 수준을 2020년 3, 4단계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자율주행차 기술은 자동브레이크 등 운전보조 수준의 레벨 1부터 부분 자율주행(레벨 2), 조건부 자율주행(레벨 3), 고도 자율주행(레벨 4), 완전 자율주행(레벨 5)까지 5단계로 나뉜다.
거대시장인 EU의 움직임은 한국 자동차산업에도 상당한 파장을 던진다. EU 자동차시장의 구조 변화는 완성차 기업뿐만 아니라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의 참여폭을 늘리고 있다. 동시에 경쟁 심화도 예상된다. 보고서는 “전기배터리나 ICT 등 한국이 경쟁력을 보유한 산업을 적극 육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