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인구 급감과 ‘인구 절벽’ 시대를 맞아 대학의 구조조정이 본격화되고 있다. 지방의 국립대인 한국해양대학교가 첫걸음을 뗐다.
한국해양대는 대학의 생존을 위해 단과대학을 축소하고 학생 정원을 감축하는 ‘학사구조 개편 및 발전전략’을 수립했다고 24일 밝혔다. 국립대 최초로 구조조정 방안을 발표한 것이다.
해양대의 구조조정안에 따르면 기존 해사대학, 해양과학기술대학, 공과대학, 국제대학의 4개 단과대학을 해사대학, 해양과학기술융합대학, 해양인문사회과학대학의 3개 단과대학으로 조정한다. 해양특성화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서다. 이에 따라 학생 정원 68명이 감축되는데 2021학년도부터 적용할 예정이다.
또 교육의 질과 학생들의 대학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1학년 학생 전원이 기숙사에 체류하며 교육받는 시스템 ‘HUG(HUman upGrade)형 RC(Residential College)’을 국립대 최초로 도입한다. 전체 학생 및 교직원의 해양관련 핵심역량을 강화하는 ‘티칭투게더’ 등 혁신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도 운영할 예정이다. 박한일 총장은 “신입생 전원 기숙사 생활과 기초교육이 되는 교양교육을 대폭 강화해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해양대의 구조조정은 지난해 8월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발표한 ‘대학기본역량진단’ 결과에 따른 것이다. 한국해양대는 ‘역량강화대학’에 포함돼 ‘정원감축 권고’를 받았다. 당시 ‘정원감축 권고’를 받은 곳은 전국 323개 대학(4년제 187곳, 전문대 136곳) 가운데 36%인 116개 대학(4년제 67곳, 전문대 49곳)에 달한다. 부산지역에만 6개 대학이 포함됐다.
이들 대학들은 저마다 구조조정 계획을 마련하고 있지만 학생과 교직원 등의 반발로 진통이 이어지고 있다. 광주 조선대의 경우 대학 혁신안을 놓고 학생과 교수, 교직원, 법인, 동문회 등 각 구성원의 불신이 깊어지는 등 곳곳에서 이를 둘러싼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전국대학노조는 최근 교육부가 입주한 정부세종청사에서 “지난해에 이어 2021년에 추진할 예정인 3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 계획을 즉각 폐기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2015년 시행된 1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과 지난해 2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은 ‘대학 살생부’로 정권이 대학을 통제하고 길들이기 위한 수단”이라며 “지방대를 망치는 평가는 즉시 중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교육부는 대학 구조조정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령인구 급감에 따라 지방대와 전문대에 미충원이 집중될 우려가 크다”며 “정원 감축 권고는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