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 총장-교수회, 학교 운영 방식 두고 극한 대립

입력 2019-03-21 19:27
경북대 글로벌플라자. 뉴시스

학교 운영 방식을 둘러싸고 경북대학교 교수회와 대학본부 간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상황이 악화되자 경북대 역대 교수회 의장들이 모여 갈등을 봉합할 것을 촉구하기에 이르렀다.

박찬석 전 경북대 총장 등 역대 교수회 의장 11명은 21일 경북대에 모여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교수회와 대학본부 간 갈등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어 걱정된다”며 “총장과 대학본부가 교수회 평의회의 의결권을 존중하고 교수회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교수회와 대학본부는 대학평의원회 설치 등 새로운 대학지배구조 마련을 위해 협조하기 바란다”고 제안했다.

역대 교수회 의장들이 한자리에 모인 것은 총장과 교수회 사이의 갈등이 극에 달했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 17일 경북대 교수회는 대학본부가 최근 학칙에 존재하지도 않는 계약학과를 신설하고 신입생 모집까지 완료하는 등 불법적인 학사운영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계약학과 신설을 위해서는 규정에 따라 6개월 전에 신청하고 학칙 개정 등 제반 규정을 정비한 후 신입생을 모집해야 하지만 대학본부가 이런 절차를 무시했다는 것이다.

교수회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그동안 발생한 학내 민주주의 파괴 시도에 단호하게 대처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민주화 운동 이후 20여년 만에 처음으로 교수총회 소집 의사를 밝혔다.

‘경북대 민주화교수협의회’와 ‘정의로운 대학 만들기 교수연구자모임’도 성명을 통해 “총장의 비민주적, 독단적 대학 운영으로 경북대가 역사상 초유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이 위기는 전 정권이 2순위 당선자를 경북대 총장으로 임명하는 순간부터 시작됐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대학본부 측은 교수회의 주장을 반박했다. 계약학과 신설은 법률에 근거해 추진했고 ‘이달 1일 신설한다’는 한국정보화진흥원과의 협약에 따라 학칙 반영, 학생모집, 학사관리 절차 등을 동시에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고 해명했다. 또 국립학교 설치령(대통령령)에 따라 최종적인 학칙 재·개정권은 총장이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