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0일 댄 코츠 미국 국가정보국(DNI) 국장을 접견하고 북핵 문제 해결 방안 등 현안을 논의했다. 코츠 국장은 북한 정보 수집 등을 위해 전날 2박3일 일정으로 비공개 방한했다(국민일보 20일자 1면 보도).
문 대통령은 청와대 본관 2층 접견실에서 코츠 국장을 만났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문 대통령과 코츠 국장은 한·미 양국 간 현안에 대해 폭넓고 심도 있게 의견을 교환했다”고 전했다. 구체적인 논의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문 대통령 취임 이후 북·미 대화와 한반도 비핵화 문제는 남·북·미 3자 정보 당국이 주도해 왔다. 코츠 국장은 중앙정보국(CIA)과 연방수사국(FBI) 등 17개 정보기관을 통할하는 미 정보 당국 수장이다. 문 대통령과 코츠 국장은 베트남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한의 변화 조짐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공조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츠 국장은 그동안 북한에 대해 강경한 자세를 보여 왔다. 지난 1월 미 상원 정보위원회 청문회에서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움직임을 언급하면서도 “현재 북한이 핵무기를 완전히 포기하지 않을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2월에는 북한이 추가 미사일 실험을 할 것으로 내다보며 “결정의 시간이 가까워지고 있다. 김 위원장이 보인 도발적 본성과 불안정함은 미국에 중대한 위협”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런 입장을 감안하면 코츠 국장은 최근 북한이 보인 도발 징후를 바탕으로 북한에 대한 미국의 우려를 문 대통령에게 전달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문 대통령은 ‘포스트 하노이’ 논의를 위해 그동안 북한과 접촉했던 내용을 공유하고, 향후 긴밀한 협조를 당부했을 것으로 보인다. 또 최근 청와대가 제안한 북·미 간 ‘굿이너프딜’(충분한 수준의 합의) 성사를 위한 방안도 타진했을 가능성이 있다.
코츠 국장은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서훈 국가정보원장과도 면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도발 재개 가능성과 협상 복귀 가능성 등에 관한 논의가 이뤄졌을 것으로 보인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