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에는 서울 한강대교 남단 보행교에서 여의도 불꽃놀이를 더 가까이 볼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서울시가 104년 만에 한강대교 보행교(조감도)를 부활시켜 한국판 ‘브루클린 브리지’로 만든다는 계획을 내놨다.
서울시는 2021년 기존 교량을 이용해 한강대교 남단 노들섬과 노량진을 잇는 보행자 전용교 ‘백년다리’를 만든다고 20일 밝혔다. 한강대교 보행로가 부활하는 것은 1917년 이후 104년 만이다. 한강대교는 한강을 걸어서 건널 수 있는 최초의 다리인 한강 인도교로 만들어졌다. 이를 지탱하기 위해 강 중간에 만든 인공섬이 현재의 노들섬이다. 이후 1950년 한강 인도교는 한국전쟁 발발 사흘 만에 폭파됐고 1981년 쌍둥이 아치교 한강대교가 개통되면서 차량 중심 교량으로 바뀌었다.
한강대교의 기존 차도는 유지하면서 쌍둥이 다리 사이 공간을 이용해 보행교(폭 10.5m, 길이 500m)가 만들어진다. 미국 뉴욕의 관광명소가 된 브루클린 브리지처럼 1층은 차도로, 2층은 보행로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백년다리는 노량진 방향으로는 내년 초 철거 예정인 ‘노량진 고가차도’와 연결된다. 고가차도 일부는 그대로 남아 백년다리와 연결된다. 노들섬 쪽으로는 보행육교와 연결된다. 또한 올림픽대교 아래 수변 보행길과 엘리베이터로 직접 연결돼 노들섬에서 한강대교 보행교를 지나 노량진 일대까지 한 번에 걸을 수 있는 길이 생긴다.
서울시는 단순 보행교가 아닌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있는 관광명소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5월에는 국제현상설계공모를 추진한다. 총 사업비 300억원을 투입해 연내 설계를 완료하고 2021년 6월 시민에게 개방한다는 목표다. 다만 다리 양 옆은 안전 장치를 강화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장기적으로 노량진 수산시장과 여의도, 선유도공원, 당인리 문화창작발전소, 경의선숲길, 용산공원을 잇는 광역 보행네트워크를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한강대교 보행교 설치는 ‘걷는 도시 서울’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노량진 일대의 지역재생을 견인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밤낮으로 아름다운 한강의 전경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조망명소를 조성하고 한강변 보행환경 개선도 병행해 시민의 여가생활을 풍부하게 하고, 나아가 뉴욕의 브루클린 브리지처럼 지역경제 활력을 불어넣는 도시재생 모델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