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와 도교육청이 명문고 육성 방안을 놓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 양 기관이 추진할 교육 사업의 핵심은 자율형 사립고(자사고) 설립을 포함한 다양한 미래형 학교모델 창출인데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도내 22개 교육단체로 구성된 충북교육연대는 20일 충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시종 지사는 자사고 설립 추진을 중단하고 교육의 공공성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교육연대는 “자사고는 특권계층을 위한 귀족학교로 불릴 정도로 고교서열화와 경쟁교육을 유발하고 사교육을 조장한다”며 “교육의 양극화를 부추기는 자사고 설립 추진은 대단히 시대착오적이라는 것을 깨닫고 당장 멈추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들은 “특권층을 위한 사학제도인 자사고를 최고의 인재양성기관으로 여기고 설립에 앞장서는 것은 도민 의사에 반하며 교육의 공공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태”라고 강조했다.
도가 명문고 육성을 위해 내놓은 방안은 대기업 지원 자율형 사립고 설립, 전국단위 신입생을 모집할 수 있는 자율학교 지정, 다른 지역에 주소를 둔 공공기관·이전기업 직원 자녀들의 도내 고교 진학 허용 등이다. 도는 이와 관련 SK하이닉스와 셀트리온 등의 기업과도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도교육청은 한국교원대학교 부설고등학교의 오송 이전이나 캠퍼스형 학교 설립 등을 통한 명문고 육성을 주장하고 있다. 양 기관 간 입장이 엇갈리면서 첨예하게 대립하자 도의회가 중재에 나섰다. 도의회 교육위원회는 오는 25일 유은혜 교육부 장관과의 면담에서 이들 방안의 실현 가능성을 파악하고 교육부 의견도 들을 것으로 알려졌다.
도의회는 이어 다음 달엔 학부모와 전문가 등이 참석하는 토론회 개최를 구상하고 있다. 이숙애 도의회 교육위원장은 “도와 도교육청이 명문고 육성을 놓고 공방을 벌이는 상황에서 도의회가 방관만 할 수 없어 객관적인 확인에 들어가게 된 것”이라며 “어떤 형태의 명문고 설립이 가능한지를 파악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도와 도교육청은 지난해 12월 초·중·고·특수학교 무상급식 경비 분담에 합의하는 과정에서 미래인재 육성에 관한 합의서를 교환했다. 이후 명문고 육성을 협의하는 태스크포스(TF)를 가동했다. 하지만 최근 도가 도내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서울대 등의 진학률 조사에 나서자 도교육청이 반발하는 등 갈등 양상이 빚어지고 있다.
청주=글·사진 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