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고용 확대→침체 탈출… 벤처에 꽂힌 청와대

입력 2019-03-20 04:05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국무회의에서 초등학교 1, 2학년의 방과후 영어 수업을 허용하는 공교육정상화법 개정법률 공포안이 의결돼 지난해 금지됐던 영어 방과후학교가 1학기 중 재개될 전망이다. 이병주 기자

청와대가 최근 벤처기업 육성에 ‘올인’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요즘 경제 일정으로 벤처기업을 자주 찾고 있고, 벤처 전문가들을 영입해 주요 비서진을 꾸리고 있다. 정부는 ‘제2벤처 붐 전략’을 천명하며 게임산업과 차량공유 서비스 등 신(新)산업 육성을 밝힌 상태다. 대기업을 통한 일자리 확대에 한계가 있는 만큼 현 정부 3대 경제기조 가운데 하나인 혁신성장 육성을 통해 일자리 창출을 꾀하고, 경기 난국을 타개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19일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벤처 투자와 신설 기업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세계 경제 전망이 어두운 가운데 다행스러운 일이다. 국가경제는 견실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제지표 개선의 기준으로 벤처 투자 확대를 지목한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은 다양한 경제 육성책 가운데 벤처기업 지원이 가장 시급하다고 보고 있다. 대통령의 확고한 철학이 반영된 발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문 대통령은 전날 경제보좌관에 싸이월드 성공 신화의 주인공인 주형철 한국벤처투자 대표를 임명했다. ‘대통령의 경제교사’라 불리는 자리에 벤처 전문가를 영입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게임업계 출신인 장병규 블루홀 의장에게 4차산업혁명위원장 자리를 맡겼다. 다음 포털의 창립자로 차량공유 업체를 이끄는 이재웅 대표와는 지난해 9월 평양 남북 정상회담에 동행했다.

대통령의 벤처 행사 참여도 이어지고 있다. 문 대통령은 올해 첫 경제 일정으로 지난 1월 벤처기업인들의 작업 공간인 ‘메이커 스페이스’를 방문해 젊은 스타트업 기업가를 격려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월과 2월 연속으로 벤처기업인들을 만나 현장의 목소리를 들었다. 지난 6일엔 ‘제2벤처 붐 확산 전략 보고회’에 직접 참석했다.

청와대는 벤처기업 육성을 통해 경기 침체와 고용난을 해결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벤처는 새로운 부가가치와 일자리, 소득의 창출원이다. 경제의 역동성을 높이는 핵심 분야”라고 설명했다. 1990년대 후반 김대중 대통령이 IMF 외환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벤처를 키운 사례를 적극적으로 벤치마킹해야 한다는 게 청와대 내부의 분위기다. 청와대는 ‘벤처투자 확대→창업 등 신설기업 확대→고용 확대’의 3단계 로드맵을 통해 벤처와 일자리를 잇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계획이다.

성과도 나오고 있다. 청와대에 따르면 지난해 벤처 투자액은 3조4000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44% 증가했다. 매출액 1000억원이 넘는 벤처기업도 600개를 돌파했다. 벤처 투자 회수액도 전년 대비 60% 늘었다.

정부는 전용 펀드를 조성, 향후 4년간 12조원 규모의 투자를 창출해 벤처기업을 지원할 방침이다. 또 연구인력의 벤처기업 유입, 규제 샌드박스 활용 등 벤처 창업 활성화 방안도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하향식 지원이 아니라 현장에서 원하는 제도 개선책이 무엇인지 듣고 반영할 수 있는 자리를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