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5G·LTE 상용망에 현재 최고 수준의 보안 기술인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적용한다.
SK텔레콤은 이달부터 5G·LTE용 통신 서버에 양자암호 통신용 칩셋 ‘양자난수생성기’를 설치한다고 18일 밝혔다. 양자난수생성기는 물리량의 최소 단위인 양자 특성을 활용해 슈퍼컴퓨터로도 규칙을 파악할 수 없는 무작위 숫자를 만드는 장치다. 기존에 사용되던 ‘유사난수생성기’의 약점을 보완해 해킹당할 확률을 0에 가깝게 만든다.
아울러 서울·대전의 5G·LTE 데이터 전송 구간에 ‘양자키분배’ 기술을 적용, 보안을 강화한다. 양자키분배 기술은 데이터를 주고받는 주체끼리만 해독할 수 있는 양자 암호키를 생성해 해킹·도청을 막는 기술이다.
양자암호통신은 5G 상용화 이후 더욱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5G 시대에는 해킹에 민감한 자율주행차와 원격로봇 등 430억개의 기기가 통신망에 접속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해외 정보통신기술(ICT) 업체들이 개발 중인 ‘양자컴퓨터’의 상용화 시점이 10년 내로 가까워진 것도 변수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