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이 사활을 걸고 있는 대구공항 통합이전 사업이 이전 후보지 2곳 선정 이후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국방부와의 이견, 다시 꿈틀대는 가덕도 신공항 재추진 움직임 등 악재가 더해져 사업 추진이 더 어려워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온다. 하지만 대구시와 경북도는 국방부와의 이견을 줄이고 있다며 시·도민들을 안심시키고 있다.
18일 대구시와 경북도에 따르면 국방부와 대구시는 지난해 3월 경북지역의 ‘군위 우보’와 ‘의성 비안·군위 소보’ 등 2곳을 대구공항 통합이전 후보지로 선정했다. 군공항 이전 특별법에 따라 대구시와 경북도는 국방부와 이전 절차, 사업비 등을 협의해야 한다. 하지만 당초 지난해 말 최종 부지를 선정하려던 계획과 달리 후보지 선정 후 1년이 지나도록 최종 선정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국방부와의 이견 때문이다.
대구시는 이전 사업비 산정 이전에 최종 부지를 먼저 결정해 달라는 입장이었고 국방부는 개괄적이라도 사업비 산정을 해야 후속절차를 밟을 수 있다는 입장이었다.
최근 가덕도 신공항 재추진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는 것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로 꼽히고 있다. 정부는 2016년 영남권 5개 시·도가 나뉘어 주장하던 경남 밀양과 부산 가덕도 신공항안을 모두 백지화하고 김해공항 확장과 대구공항 통합이전 결론을 내렸다.
이후 잠잠하던 가덕도 논란은 문재인 대통령의 “만약 5개 광역자치단체의 생각이 다르면 총리실에서 검증 논의를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는 발언을 부산이 “가덕도 재추진 의사를 확인한 것”이라고 해석하면서 다시 불거졌다. 또 최근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부산시 예산정책협의회에서 ‘동남권 관문공항 건설 요구를 지원하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에 대해 자유한국당이 반발하며 ‘재론 불가’ 입장을 밝히면서 정치 쟁점화할 조짐도 보이고 있다.
지역 내 갈등도 걸림돌이다. ‘대구공항 존치, 군공항만 이전’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여전히 남아있어 지역 내 의견을 일치시키는 것도 대구시와 경북도가 해결해야 할 숙제로 남아있다.
대구시는 국방부와 이견을 줄이면서 사업을 진행시키고 있다는 입장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국방부는 사업비를 구체화하고 대구시는 이전 터 개발 방법을 좀 더 현실화하는 쪽으로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며 “김해공항 확장은 3년 전에 결론이 난 사안으로 정부의 방침도 변함없기 때문에 대구·경북은 군공항 이전 특별법에 따라 국방부와 이견을 좁히며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