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 후보 등록이 마무리되면서 본격적인 선거전의 막이 올랐다. 각 당 지도부는 앞다퉈 선거가 치러지는 경남 창원 성산과 통영·고성 지역을 방문하며 본격적인 고공전에 나섰다. 부산·경남(PK)의 핵심 지역인 두 곳의 선거 결과가 21대 총선의 ‘바로미터’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지도부는 18일 통영에서 각각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연다. 민주당에서는 양문석, 한국당에선 정점식 후보가 출마해 현재 양강구도를 이루고 있다.
통영과 고성은 전통적인 보수 강세 지역이다. 하지만 지난해 6·13 지방선거에서 통영시와 고성군 모두 민주당 소속 기초단체장이 당선되면서 보수색이 옅어졌다는 평가다. 민주당은 김경수 경남지사 구속 이후 지역 여론이 악화된 상황에서 선거를 치러야 한다.
민주당은 집권당임을 내세워 승리를 가져오겠다는 전략인 반면 한국당은 ‘문재인 정권 심판’을 내세우면서 보수층을 공략하고 있다.
창원 성산은 후보가 7명이나 되고, 선거 구도도 복잡하다. 거대 양당뿐 아니라 소수 정당들도 일찌감치 창원 현지에 거처를 마련했다. 이 지역은 고(故) 노회찬 정의당 의원의 지역구로, 경남에서 진보세가 강한 곳이다. 최근 세 차례(17, 18, 20대) 총선에서도 진보 정당이 의석을 가져갔다.
창원 성산은 민주당 권민호, 정의당 여영국 후보의 단일화가 핵심 변수다. 양당은 단일화 방식을 논의 중이며, 투표용지 인쇄 하루 전인 25일까지 단일화를 마치겠다는 방침이다. 민주당 지도부는 단일화 협상을 고려해 창원 방문은 미룬 상태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통화에서 “단일화 과정을 지켜보고 후보가 결정된 뒤 창원을 방문하는 것으로 일정을 조정했다”며 “정의당 후보로 정해져도 적극적으로 지원에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당도 황교안 대표가 최근 창원 현지에 원룸을 얻어 강기윤 후보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황 대표는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는 21일부터 상주하며 현장 지휘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도 이재환 후보를 지원하기 위해 창원에 임시 거처를 마련해 한 달 가까이 비행기로 서울과 창원을 오가고 있다.
정의당은 일찌감치 이정미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가 나서서 ‘노회찬 지역구’ 사수 의지를 밝혀 왔다. 창원 성산에 위치한 경남도당 사무실을 ‘제2 당사’로 탈바꿈해 매주 당 지도부 회의격인 상무위원회를 열고 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