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명 농식품부 농업정책국장 “귀농 초기 소득 향상 위해 지역 일자리 연계 방안 마련 중”

입력 2019-03-17 19:32 수정 2019-03-17 23:56

이주명(사진) 농림축산식품부 농업정책국장은 “귀농하는 이들의 초기 소득을 올려 줄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지역 일자리 연계 시스템 구축을 준비 중”이라고 17일 밝혔다. 농식품부가 최근 발표한 귀농·귀촌 실태조사를 보면 지난해 기준으로 귀농 1년 차 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2319만원에 불과하다. 그만큼 정착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이 국장은 “귀농·귀촌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지방자치단체에 필요한 인력을 공급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라고 덧붙였다.

귀농·귀촌은 점점 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농림어업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11만7000명(11.8%) 늘었다. 전체 산업군 중 두 번째로 큰 증가폭이다. 청년층 유입과 은퇴 고령자의 귀농 현상이 불러온 수치다. 귀농인 소득이 높아진 점도 한몫을 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기준으로 5년 차 귀농 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3898만원으로 4000만원에 육박했다. 도시에 살다가 귀농한 이들의 소득이 전체 농가 평균소득(3824만원)을 웃돌았다.

이에 따라 초기 정착단계를 벗어나는 게 귀농의 가장 큰 과제다. 귀농 유형에 따라 격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 국장은 “도시 생활을 하면서 어느 정도 소득을 올린 상태에서 연고 지역에 귀농할 경우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다”고 설명했다. 초기 자금이 부족한 청년층 귀농인의 경우 지난해부터 영농정착지원금 지원을 받는다. 만 39세 이하를 대상으로 월 100만원씩 최대 3년간 지원한다. 하지만 만 40세 이상이면서 지역 연고가 없다면 귀농 초기에 난관을 경험할 수밖에 없다. 특히 작물 선택을 잘못했을 경우 되돌리기 힘든 피해를 볼 수도 있다. 이 국장은 “재배할 작물을 잘못 선택하면 초기 소득이 적고 추후 공급 과잉 사태와 부딪힐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농업을 하면서 동시에 지역 일자리를 원하는 이들을 위한 맞춤형 지원을 추진 중이다. 이 국장은 “전국 71개의 지자체 귀농·귀촌지원센터와 고용노동부 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연계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라고 했다. 여기에 소득 향상에 도움이 되는 귀농·귀촌 교육 프로그램도 보다 강화할 계획이다. 이 국장은 “농촌진흥청 농업경영 컨설팅 프로그램 등을 활용해 초기 단계 지원에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