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이주민을 돕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개발해 눈길을 끌고 있다. 광주시는 “이주민의 안정적 체류와 정착에 필요한 정보를 담은 생활안내서 ‘인권생활 수첩’을 영어와 베트남어, 캄보디아어, 스리랑카어, 우즈베키스탄어의 5개 언어로 번역해 발간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수첩은 이주민의 인권보호와 일상생활, 안전, 건강, 지원기관, 다문화 지원기관 등의 내용으로 다채롭게 구성됐다. 광주인권헌장 등에 규정된 이주민의 법적 지위와 권리도 소개했다. 시는 최근 인쇄한 수첩을 이주민 관련단체에 배포하고 민주인권포털에도 게재했다.
지난해 11월에는 아시아 15개국 5000여명의 이주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국내 최대 규모의 ‘제1회 이주민인권평화축제’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앞 5·18민주광장에서 개최했다. 축제는 나라별 공연과 전통의상 패션쇼, 전통요리 경연대회, 노래자랑, 고려인 동포들의 애절한 삶을 주제로 한 사진전 등으로 꾸며졌다.
앞서 시는 이주민건강센터 진료실을 확장하는 등 이주 노동자·여성들에 대한 의료봉사 범위를 확대했다. 월곡동에 들어선 이 센터는 광주기독병원 의료인들의 의료봉사로 시작됐고 이후 광주외국인근로자문화센터, 인도주의실천의사회,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 광주·전남한의사협회 등이 동참했다. 센터는 명절을 제외하고 매주 목·일요일에 연중 무료 운영 중이다.
광주지역에는 외국인 2만2800여명이 거주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이주민 당사자들의 목소리를 반영해 다양한 맞춤형 정책을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이주민 체류·정착 돕는 광주시… 맞춤형 정책 개발
입력 2019-03-17 1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