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사립유치원 상당수가 회계비리와 세금탈루 의혹으로 검찰에 고발되거나 세무조사를 받게 됐다. 광주시교육청은 “지난해 10월부터 지난 2월까지 사립유치원 30곳에 대한 감사를 벌인 결과 30곳 모두에서 218건의 각종 비위사실을 적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시교육청은 이 가운데 6곳을 사기혐의로 검찰에 고발하고 19곳은 관할세무서에 세무조사를 의뢰했다. 이와 별도로 감사반원 출입을 저지하거나 자료제출을 거부한 11곳도 검찰에 고발했다. 시교육청이 사립유치원을 형사고발하고 세무조사를 의뢰한 것은 처음이다. 사립유치원 운영 비리를 발본색원하겠다는 의지다.
A유치원의 경우 ‘수업에 필요한 옷과 교재를 산다’며 돈을 걷어 헌옷과 중고 물품을 원생들에게 지급한 것으로 밝혀졌다. 창의력사고 수업이나 체험활동 비용을 받고도 정작 해당 수업 등은 전혀 하지 않는 B유치원도 적발됐다. C유치원은 개당 400원에 납품받은 우유를 3배나 많은 최대 1200원씩에 원생들에게 지급했다.
30개 유치원 감사 과정에서 드러난 비리금액은 30억원을 훌쩍 넘었고 이들 유치원이 교육청 보조금을 부당 수령한 액수만 21억5000만원에 달했다. 시교육청은 올해 말까지 39개 사립유치원을 대상으로 추가 감사를 진행할 방침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사립유치원 대다수가 특정 업체와 수의계약을 통해 납품을 받는 과정에서 불법 리베이트를 챙긴 정황도 짙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