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8민주운동 정신 도로명 담자

입력 2019-03-14 19:30
대구에서 지명이나 도로, 공원 등의 이름을 바꿔 대구정신을 되살려야한다는 주장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14일 대구시의회에 따르면 김규학 시의원이 15일 시의회에서 2·28민주로(路) 지정을 촉구하는 시정질문을 한다. 2·28민주운동은 1960년 2월 28일 자유당정권의 독재와 부정부패를 바로잡기 위해 대구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우리나라 최초의 학생민주운동이다. 지난해 2월 국가기념일로 승격되면서 대구의 정신으로 인정받고 있다.

김 의원은 2·28민주운동을 상시 기념할 수 있도록 당시 행진이 있었던 명덕네거리~대구역네거리 2.28㎞ 구간을 2·28민주로로 지정할 것을 집행부에 제안할 예정이다. 또 중앙네거리를 2·28중앙네거리로의 개명, ‘대구민주정신박물관’ 건립 등도 건의한다.

2·28민주운동기념사업회도 두류공원 이름을 ‘2·28두류공원’으로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2·28기념탑이 있는 두류공원에 중구 남산동에 있는 2·28기념회관과 동성로에 있는 2·28공원을 옮겨와 관련 시설들을 한곳에 모으면 더 효율적으로 사업을 이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일제강점기 지명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대구경북연구원 박은희 연구위원은 CEO브리핑을 통해 일제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지명을 일본식 한자로 바꾼 것을 그대로 사용하는 지역이 대구·경북에 아직 많다고 지적했다. 대표적인 곳으로 대구 달서구 송현동과 대곡동, 장기동, 죽전동, 경북 칠곡군 왜관읍 등을 꼽았다.

대구시는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지명이나 도로명 변경은 법적인 절차에 따라야 하고 주민 의견 수렴 등 과정이 까다롭다”고 밝혔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