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센서 5만개 설치… 서울, 2022년 ‘스마트한 도시’ 된다

입력 2019-03-13 21:19 수정 2019-03-13 23:55
김수영 양천구청장과 박원순 서울시장, 정원오 성동구청장(왼쪽부터)이 13일 서울시청 본관 대회의실에서 ‘스마트시티 좌담회’를 열고 스마트시티 서울 추진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서울 전역에 IoT(사물인터넷) 센서 5만개가 설치된다. 서울시는 1조4000억원을 투자해 서울을 ‘빅데이터 수도’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3일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스마트시티 좌담회’를 열고 ‘스마트시티 서울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좌담회에는 스마트시티 특구로 첫 지정된 양천구의 김수영 구청장과 성동구의 정원오 구청장이 함께 했다.

추진계획에 따르면 먼저 2022년까지 서울 전역에 5만개의 IoT 센서를 설치해 도시현상(미세먼지, 소음, 바람, 야간 빛 세기 등)과 시민행동(유동인구, 차량이동) 데이터를 수집한다. 교통정보와 같은 기존 보유 데이터까지 한 곳에서 저장·분석·활용하는 ‘공공 빅데이터 통합 저장소’를 연내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도시 문제 해결에 활용된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로 확보한 야간 빛 데이터를 분석해 밤길 안전 확보를 위한 정책을 만들고 지역별 폭염·한파 데이터로 그늘막이나 빙판길 열선 설치 위치를 정하는 방식이다. AI(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민원 질문에 자동으로 답하는 ‘챗봇’ 기능도 120다산콜 문자 상담에 시범 적용한다.

마포구 상암 DMC에는 세계 최초로 조성 중인 5G 융합 자율주행 테스트베드가 마련된다. 오는 6월 디지털미디어시티역부터 상암DMC 구간 무인셔틀버스가 시범 운영된다. IoT 센서로 공영주차장 차량 유무를 실시간 파악하는 공유주차 시스템도 도입된다.

민관 공동 빅데이터 플랫폼도 2020년까지 구축된다. 공공기관이 보유한 건축물대장, 부동산 실거래가, 생활편의시설정보와 금융기관의 담보대출데이터를 융합해 소형 공동주택 매매시세 데이터 개발을 진행 중이다. 민간의 혁신기술 상용화를 돕는 ‘스마트시티 펀드’를 20222년까지 2500억원 규모로 조성한다.

박 시장은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은 시민 삶을 개선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새로운 세계에 대한 두려움으로 바라볼 문제가 아니라 오히려 민간에 유용하면서도 새로운 도전 과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참석자들은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스마트 시티 기술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데 입을 모았다. 김수영 양천구청장은 “작은 공간에 많은 사람이 모여 있기 때문에 여러 도시 문제들이 발생한다”며 “고도화된 기술을 적용해 복지와 환경 분야에 특화를 해서 실질적인 성과를 보여드릴 것”이라고 말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행정에서 배제된 소수를 배려하기 위한 맞춤형 정책은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첨단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