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8개 버스회사 노조가 13일부터 강행하기로 예고했던 버스 총파업이 철회됐다.
노조측인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제주지역자동차노동조합과 사측인 제주도버스운송사업조합은 12일 오후 10시까지 막판 교섭을 벌인 끝에 임금 인상안에 최종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13일 새벽 0시부터 예정됐던 파업은 철회되고 버스는 정상 운행된다.
막판 교섭 끝에 양측이 합의한 내용은 연봉 1.9%를 인상하고, 4주 단위 탄력 근로제를 적용하는 것이다. 또 무사고 수당 월 3만원을 신설하고, 종점에 화장실과 휴게실을 설치하기로 했다.
그동안 노조는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른 추가 인력 확보와 임금 10.9% 인상, 준공영제 실시로 증가한 종점 휴게실 설치 등을 요구해 왔다.
노조 측과 사측은 지난해 11월 27일부터 지난달 11일까지 총 11차례에 걸쳐 단체교섭을 진행했으나 모두 결렬됐다. 3차에 걸친 제주지방노동위원회의 노동쟁의 조정 협의도 가졌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이에 대해 제주도와 사용자 측은 지난해에도 임금이 전년보다 2.6% 인상됐고, 도내 운수종사자 근무여건이 준공영제를 도입한 후 크게 개선돼 2018년 기준 1년차 임금(4300만원)이 도 단위 지역 시내버스 종사자 가운데 시간 당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팽팽히 대립해 왔다.
전성태 행정부지사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노조가 파업에 돌입하는 것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을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며 “준공영제 실시 후 연간 1000억원에 이르는 예산 중 절반 이상이 운수종사자의 인건비로 소요되는 만큼 도민을 볼모로 한 버스 파업에 강력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는 파업에 대비해 128개 전 노선에 전세버스 665대를 긴급 투입, 기존 버스 시간표를 최대한 유지하는 대체운행을 시행할 계획이었다.
조경신 노조위원장은 “협상안이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도민의 발이라는 책임감을 갖고 대승적인 차원에서 사용자 측과 제주도와 합의했다”며 “도민께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고 말했다.
앞서 노조는 지난 7~8일 실시한 노동쟁의(파업) 찬반투표 결과 1303명의 투표자 중 약 96%(1246명)의 찬성으로 총파업을 결의했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