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한수원, 자사고 대안사업 두고 의견대립 팽팽

입력 2019-03-12 21:24 수정 2019-03-13 04:03
경북 경주시와 한국수력원자력이 경주에 설립키로 한 자율형사립고등학교 대안사업을 두고 의견 대립을 빚으며 팽팽히 맞서고 있다. 한수원 본사 이전 및 관련 지원사업 8건 중 자사고 설립 대안사업만 지지부진한 상황이어서 시민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12일 경주시와 한수원 등에 따르면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7년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처분장 착공식에 참석해 경주에 한수원 자사고 설립을 약속했다. 하지만 2015년 9월 정부가 자사고 설립 불허 결정을 내리자 경주시와 한수원은 2017년 대안사업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양측은 자사고 설립에 드는 사업비로 복합도서관 건립과 장학·교육사업 등을 추진키로 했다. 그러나 지난해 8월부터 3차례에 걸친 실무협의에서 양측은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한수원은 경주시가 사업부지를 선정하면 대안사업을 추진한다 입장이다. 지난해 11월 26일 열린 3차 실무회의에서 한수원은 자사고 건립비용 787억원 내에서 사업을 추진하자고 제안했다. 탈원전 영향으로 회사 사정이 어려워진 만큼 추가비용이 들면 사업추진이 불가하다고 못박았다.

한수원 관계자는 “도서관 건립 관련 부지는 경주시에서 제공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라며 “모든 계획이 잡혀있는 만큼 부지만 선정되면 이사회에서 결정한 사업비 내에서 언제든지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주시는 그동안의 이자 등을 포함하면 870억원 정도를 한수원이 부담하고 용지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복합도서관 건립 670억원과 학교지원 및 장학사업으로 200억원을 한수원이 부담해야 한다는 요구다.

경주시 관계자는 “도서관 및 장학·교육사업 추진 등의 계획안을 지난해 6월 한수원에 통보했다”며 “자사고 설립이 무산되고 그 대안으로 도서관 등을 건립하는 것인 만큼 부지 매입도 당연히 한수원이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한수원 내부에서 소통이 안 되는 것 같다”며 “도서관 부지 매입을 한수원이 하는 것으로 논의를 마쳤는데 이제 와서 딴소리하는 것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시민들은 양측이 대안사업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시민 김모(53)씨는 “약속했던 사업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는 것은 잘못”이라며 “시민과 약속했던 자사고 대안사업을 서둘러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