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산단 17만명 고용 목표… 2026년까지 2조7000억 투입

입력 2019-03-14 18:23
올해를 경제 부흥의 원년으로 만들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는 경남 창원시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될 창원NC파크 야구장의 전경. 과거 창원과 마산, 진해가 통합된 창원시는 인구 106만 도시에 걸맞은 자치권한을 부여받기 위해 특례시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창원시 제공

창원시는 2019년을 창원경제 부흥의 원년으로 정하고 모든 행정력을 경제살리기에 집중하고 있다. 첫 번째 결실로 창원국가산단이 스마트 선도 산단으로 선정되는 등 가시적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시는 3·1운동 100주년, 부마민주항쟁 40주년을 맞아 근현대사 재조명 사업도 대대적으로 추진한다. 인구 106만 도시에 걸맞은 자치권한을 부여받기 위한 특례시 지정과 권역별 특색을 살린 도시재생 뉴딜사업, 시민 중심의 안전 복지 도시 만들기 등을 추진하고 있다.

14일 창원시에 따르면 경제살리기에 나선 시는 올해 시무식을 ‘경제살리기 대책보고회’로 대신했다. 매주 수요일 시청 간부회의도 ‘경제전략회의’로 바꿨다. 토론을 통해 지역민들이 체감하는 정책을 발굴하기 위해서다. 경제계·노동계·학계 등 각 분야 대표자 35명이 위원으로 참여하는 ‘범시민경제살리기대책기구’를 발족시켰고, 지역산업 업종별 경제주체 120여명이 참가한 ‘창원경제부흥 시민 원탁토론회’도 열어 경제회복을 위한 폭 넓은 의견을 수렴했다.

이런 과정을 거쳐 나온 것이 창원경제 살리기 로드맵이다. 시는 ‘창원경제 뉴딜 2019 프로젝트’를 통해 2026년까지 창원지역 산단 총 고용인원 17만명, 생산액 100조원 달성을 목표로 주력산업인 제조업분야에 활력을 불어넣는 산업육성 정책을 추진한다. 수소·방위·항공·로봇 등 6개 분야 132개 사업에 2조7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또 ‘민선7기 일자리 종합대책’을 통해 2026년까지 일자리 14만4000개를 만들고 ‘2019 투자유치 종합계획’을 통해 올해 1조2000억원의 공격적 투자유치에 나선다. 지난달 20일 창원국가산업단지가 2022년까지 매년 2000억원 이상 투자되는 정부의 ‘스마트 선도 산단’에 선정된 것은 큰 성과다. 자동차·조선 등 주력 산업의 둔화로 지역 산단의 활력이 저하되는 상황이었지만 모두가 스마트 선도산단 선정에 사활을 걸고 적극 노력한 결과로 평가된다.

시는 스마트 선도 산단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경남도와 창원시 등 관계기관이 참여해 ‘경남창원 스마트산단 사업단’을 구성해 세부사업들을 구체화하고 집중 투자를 할 계획이다.

시는 국내 방위산업의 최대 집적지인 장점을 살려 방산·항공부품 중소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2026년까지 4대 분야 17개 세부사업에 3413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글로벌 방산·항공부품 강소기업으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창원은 인구와 면적, 수출액 모두 광역시급의 대도시다. 하지만 기초지자체 행정·재정 권한만을 갖고 있어 제대로 된 행정서비스를 펼치기 어렵다. 창원시가 특례시 지정을 추진하는 이유다. 시는 지난해 10월 정부에서 지방자치법 개정안을 발표한 만큼 늦어도 올해 중 국회 통과를 기대하고 있다.

특례시가 되면 특례사무 이양에 따라 자치행정권한이 확대돼 행정수요에 능동적 대처가 가능해지고, 재정도 늘어나 도시인프라 확충 및 공공서비스가 대폭 개선된다. 또 정부공모사업을 정부에 직접 신청 가능해 각종 국책사업 및 국가기관 유치가능성이 증가한다. 또 도시브랜드 향상으로 인한 무형의 파급효과도 클 것으로 예상돼 도시의 품격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것으로 기대된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