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7일 북방경제협력위원회을 출범시키고 신북방시대 동북아 에너지 물류 중심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부산과 포항 등 동해안 각 지자체들이 잇따라 북방거점도시 경쟁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북방경제협력위원회를 중심으로 거점도시의 위치를 선점하겠다는 것이다.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가 2017년 12월부터 운영되고 있는 가운데 지자체 중 위원회를 출범시킨 건 울산시가 처음이다. 위원회는 북방경제협력과 관련한 정책 제안과 신규사업 발굴, 주요 정책에 대한 자문·협의·조정 등 역할을 하게 된다.
북방경제협력이란 중국·러시아·몽골 등 유라시아지역 국가와 교통·물류·에너지 등의 분야에서 연계성을 강화해 우리 경제의 미래 성장동력을 창출하고 남·북한 통일의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경제협력을 뜻한다. 는 올 연말 완료를 목표로 북방경제협력 및 북방교류 연구용역에 들어갔다.
연구에서는 북방경제협력을 위한 협력가능 분야 조사 및 사업발굴, 러시아·몽골·중국 동북3성 등 북방지역과의 교류 활성화 방안 연구, 한반도 신경제구상 환동해벨트 관련 울산지역 전략 수립 등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지난해 9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톡 제4차 동방경제포럼에 참가해 러시아와 원유·가스 및 북극항로, 일자리, 조선부문의 협력방안 제시하는 등 북방경제협력의 큰 틀을 제시한 바 있다.
내년에는 울산에서 한-러 지방협력포럼 개최가 예정되어 있다. 시는 또 블라디보스톡시와 우호협력도시 교류협력을 추진한다. 송 시장은 “북방협력이 침체에 빠진 울산경제의 활력을 찾는 활로가 될 것”이라며 “울산이 북방경제협력의 중심기지로 도약하는 데 위원회가 구심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울산시, 지자체 첫 북방경협委 설치
입력 2019-03-07 1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