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현재 노인 10명 중 1명이 치매를 앓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치매센터는 급격한 고령화와 함께 치매인구 또한 크게 늘어 2024년이면 100만명, 2039년에는 200만명을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제는 치매국가책임제 등 정부정책으로 사회적 비용이나 가계부담이 줄어들더라도 고령사회의 가장 두려운 질병으로 인식되는 치매의 ‘극복’은 아직 이루지 못한 꿈이라는 점이다. 치매연구의 대가로 통하는 건국대학교병원 한설희 원장(신경과)은 그의 저서에서 “치매의 대표적인 질환인 알츠하이머병은 그 진행을 멈추거나 악화되는 속도를 늦출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제가 없다”며 “점차 증상이 악화돼가는 환자를 속절없이 지켜볼 수밖에 없는 현실이 매우 안타깝다. 치매의 발병위험을 줄이고 진행을 늦추는 것이 지금의 해법”이라고 소회를 밝히기도 했다.
생물학적으로 뇌는 재생능력이 없어 치매를 치료하기가 어렵지만, 예방과 관리로 치매를 최대한 늦출 수는 있다는 설명이다. 그리고 그 방법으로 건강한 생활습관과 두뇌건강식을 제안했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치매센터도 즐길 것 3가지, 참을 것 3가지, 챙길 것 3가지를 모아 ‘3.3.3 치매예방수칙’을 발표했다. 또한 뇌가 건강해지는 운동법과 식생활에 대한 정보도 알리고 있다.
이들을 종합해보면, 뇌 건강을 지켜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생활습관으로는 ▲운동 ▲독서 ▲절주 ▲금연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등 정기적인 확인 ▲가족, 지인과의 빈번한 대화 ▲규칙적인 식생활 등이다. 음식은 속칭 ‘브레인 푸드’로 통하는 견과류나 현미 등 잡곡, 등푸른생선, 블루베리, 시금치, 카레, 해조류 등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좋다. 채소나 과일, 우유, 커피, 홍삼 등을 챙겨먹는 것도 긍정적이다. 이 외에도 뇌손상을 막기 위해 운동 시 보호장구를 착용하는 등 머리충격을 최소화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단단한 음식을 씹어 저작근을 자극해 뇌혈류를 증가시키거나 스트레스, 불안, 부정적 생각을 멀리할 수 있는 활동을 하는 것도 중요하다. 지속적으로 뇌를 자극하는 인지훈련도 큰 도움이 된다. 중앙치매센터는 신문을 활용한 12가지 인지훈련법을 담은 ‘두근두근 뇌운동’이란 이름으로 배포하고 있다. 한 원장은 “치매를 예방하고 성공적인 노화에 이르기 위한 5계명”이라며 ▲생각을 젊게 하기 ▲각성하고 금주·금연하기 ▲바른 자세로 활기차게 걷기 ▲꾸밈없는 뇌 건강식단 준비하기 ▲기분 좋게 이웃을 위해 봉사하기를 권하며 작은 습관부터 바꿔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치매예방의 바른 길이라고 강조했다.
오준엽 쿠키뉴스 기자 oz@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