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전기차 보급 위해 충전기부터… 세종청사에 올해 30기 들인다

입력 2019-03-06 19:08
정부세종청사 6동 주차장에서 전기차 급속충전기 설치 공사가 한창이다. 정부는 올해 안에 세종청사에서만 30기 이상의 충전기를 설치할 예정이다.

정부가 이르면 올해 안에 정부세종청사에 전기차 급속충전기를 30기 설치한다. 세종청사에 드나드는 전기차는 하루 평균 50대 수준에 그치지만, 미리 충전 인프라를 깔아서 전기차 보급에 속도를 내겠다는 전략이다. ‘선(先) 인프라 구축, 후(後) 보급 확대’라는 친환경차 정책 흐름에 따른 조치다. 충전기를 확충하면서 정책 의지를 보여주면 자연스럽게 전기차 구매가 늘 것이라는 판단이다. 전기차가 늘면 미세먼지 저감에도 효과를 볼 수 있다.

6일 정부에 따르면 행정안전부와 환경부는 지난달에 세종청사 건물(동)마다 전기차 급속충전기 1기를 우선 설치키로 합의했다. 세종청사 16개 동에 급속충전기 16기가 들어서는 것이다. 올해 완공 예정인 복합체육시설 3곳에도 모두 10여기의 충전기를 들여놓을 계획이다. 정부는 세종청사에만 최소 30기의 급속충전기를 설치할 생각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 중 사업 신청을 통해 예산이 배정되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충전기가 설치된다. 늦어도 내년 상반기 중에는 세종청사 전체에 충전기가 보급돼 누구든지 이용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세종시에 설치된 전기차 급속충전기는 24기다. 전기차는 234대가 보급됐다. 세종청사에 충전기가 들어서면 충전기 설비만 50여기로 는다. 전기차 100대당 20기 이상의 충전기를 확보하는 셈이다. 2017년 기준 전기차 100대당 급속충전기 수는 중국이 9기, 일본은 7기, 독일은 4기, 미국은 2기다.

사진=게티이미지

이처럼 정부가 충전기를 대대적으로 확충하는 배경에는 인프라를 먼저 구축해야 전기차 수요가 발생할 것이라는 정책 인식이 깔려 있다. 문재인정부는 차세대 성장동력이자 미세먼지 대응책으로 친환경차 보급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전기차 충전기 등 인프라가 구매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충전기가 부족해 전기차를 사지 않게 되고, 전기차 보급대수가 적어 충전기를 늘리지 않는 ‘악순환’이 발생하는 것이다. 특히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주장하는 정부가 정작 세종청사에 충전기를 1기만 설치해 정책 의지가 있느냐는 빈축을 사기도 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정부가 인프라 확충에 힘쓰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솔선수범할 필요가 있어 충전기 설치를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미 세종청사 6동과 13동, 세종컨벤션센터에서는 충전기 설치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 전기차 충전기 보급 예산 가운데 남은 돈을 활용해 3대를 우선 설치하는 것이다. 이 충전기는 이달 중순부터 사용 가능할 전망이다.

세종=글·사진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