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대전사업장 폭발사고와 관련해 대전시가 재발방지 대책을 발표한 가운데 충청권 산업현장 전체의 안전 대책이 강화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5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한화 대전사업장 사고와 관련해 방위사업청·대전지방고용노동청·근로자 등이 참여하는 합동점검반을 구성해 원인 규명에 나서기로 했다. 또 대전사업장에 대한 점검방식을 기존의 기관별 점검에서 유관기관 합동점검으로 바꾸고, 점검 횟수역시 연 1회에서 2회 이상으로 확대한다.
전날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과 방위사업청, 대전고용노동청, 한화 등이 서명한 합의문에 따라 따라 작업중지 명령 해제에 대한 요건도 강화될 전망이다. 특히 대전사업장 노동조합원 전체 투표에서 선출된 ‘명예산업안전감독관’이 주요 관계기관과 함께 환경평가를 실시, 안전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작업장은 작업중지 명령을 할 수 있게 된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한화 대전사업장 사고 희생자와 관련해서는 충분한 협의를 통해 원만히 문제가 해결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시민안전 향상을 위한 대책으로 재난·사고 대응체계 강화, 시민안전실의 재난안전 컨트롤타워 기능 향상, 시민안전·안심사회 기반 조성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재난·사고 유형별 대응매뉴얼 정비, 빅데이터에 기반한 지능형 예·경보체계 구축, 민관 협력 네트워크 활성화 등 안전 거버넌스도 확대한다.
본청 시민안전실의 역할도 강화된다. 시는 재난안전 컨트롤타워 기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 총괄상황관리와 지역안전계획 종합 실행, 안전감찰 및 시설물 점검을 강화하기로 했다. 여기에 대전시에 거주 중인 시민 전체를 대상으로 ‘시민안전보험’을 도입하고 안전체험관을 건립해 안전문화를 확산시킨다는 복안이다. 허 시장은 “지역에서 이와 같은 안전사고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앞으로도 사전 관리를 강화하겠다”며 “시민이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대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한국서부발전 태안화력, 현대제철 당진공장 등에서도 지속적으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만큼 충남지역에도 심화된 안전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고(故) 김용균씨가 숨진 태안화력에서는 전날에도 오후 2시10분쯤 협력업체 직원 윤모(48)씨가 설비에 끼이는 부상을 당했다. 당시 석탄분배기와 먼지제거설비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던 윤씨는 석탄분배기가 다가와 이를 피하려다 장비 사이에 끼었다. 동료직원이 석탄분배기를 정지시켜 큰 사고는 면했지만 윤씨는 오른쪽 쇄골과 늑골 등을 다쳐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방사청 참여 점검반 구성, 방산업체 잦은 사고 원인 찾는다
입력 2019-03-05 1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