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닝썬 여파… 정부, SNS 뒤져 마약 유통 잡는다

입력 2019-03-05 19:20

정부가 인터넷 및 SNS에서 거래되는 마약을 대상으로 집중점검을 실시하고 유흥업소 마약 유통에 대한 수사를 강화하기로 했다. 마약의 국내 유입을 막기 위해 탐지장비를 대폭 확충하는 한편 주요 마약 생산 국가와 합동단속도 진행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9개 관계부처는 5일 ‘클럽 버닝썬 사태’로 불거진 불법 마약 유통과 관련해 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우선 식약처가 운영·관리하는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마약 오남용이 의심되는 사례를 선별하고 이에 대해 검찰과 경찰, 식약처가 4~5월 합동점검을 벌인다. 지난해 5월 도입된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은 의료용 마약류를 취급한 내역이 전산에 입력되는 시스템이다.

마약 거래가 빈번한 인터넷과 SNS를 대상으로도 이달부터 집중점검에 들어간다. 불법 판매 사용자 계정(ID)의 접속을 차단하기 위해 네이버와 다음, 트위터, 유튜브 등과 민관협의체를 구성·운영한다.

검찰과 경찰은 클럽 등 유흥업소 업주와 결탁된 유착세력을 엄정 수사할 방침이다. 경찰은 이날 이문호 버닝썬 대표를 마약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버닝썬 내 마약 유통 경로와 조직적 개입 여부를 수사했다.

검찰은 세관과 마약 합동수사반을 통해 국제우편 및 특송화물을 이용한 마약류 밀수 차단에 나선다. 관세청은 무색무취의 향정신성의약품인 ‘물뽕’의 국내 유입을 막기 위해 물뽕 탐지장비 6000개를 전국 세관에 추가로 보급한다. 환각, 졸음, 현기증을 유발하는 물뽕은 버닝썬 사태에서 여성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에 이용됐다는 의혹이 제기된 약품이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