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가 두산의 미래를 만드는 힘이다.”
인재를 중시한 경영으로 ‘글로벌 두산’의 기틀을 마련한 박용곤 두산그룹 명예회장이 지난 3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7세.
1932년 고(故) 박두병 두산그룹 초대회장의 6남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난 박 명예회장은 6·25전쟁이 한창이던 51년 해군에 자원 입대해 참전용사로 활약했다. 그는 군 제대 후 미 워싱턴대에서 경영학을 공부하고 귀국한 뒤 60년 한국산업은행에 공채로 입사했다. “남의 밑에 가서 남의 밥을 먹어야 노고의 귀중함을 알 것이요, 장차 아랫사람의 심경을 이해할 것”이라고 강조한 선친의 뜻에 따른 것이었다.
두산그룹에 발을 들인 건 63년 동양맥주의 사원으로 입사하면서다. 이후 한양식품 대표, 동양맥주 대표, 두산산업 대표 등을 거친 뒤 81년 두산그룹 회장 자리에 올랐다.
박 명예회장은 집에서나 회사에서나 모든 결정의 중심에 있었지만 좀처럼 먼저 입을 열지 않아 ‘침묵의 거인’으로 불렸다. 고인은 상대방의 말을 끝까지 경청한 뒤 자신의 뜻을 짧고 간결하게 전했다. 사업상 큰 결단을 내려야 하는 순간에도 그는 실무진의 의견을 먼저 듣고 나서야 입을 열어 방향을 정했다고 한다.
고인은 인화(人和)를 강조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인화로 뭉쳐 개개인의 능력을 집약할 때 자기실현의 발판이 마련되고, 여기에서 기업 성장의 원동력이 나온다” “‘인화’란 ‘공평’이 전제돼야 하고, ‘공평’이란 획일적 대우가 아닌 능력과 업적에 따라 신상필벌이 행해지는 것” 등의 생전 발언은 인화, 인재에 대한 박 명예회장의 신조를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그는 ‘모든 사원이 일생을 걸어도 후회 없는 직장이 되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두산그룹 회장 재임 시 박 명예회장은 국내 기업 처음으로 연봉제를 도입했다. 94년에는 직원들에게 유럽 배낭여행 기회를 제공하고 96년에는 토요 격주휴무 제도를 시작했다. 여름휴가와 별도의 리프레시 휴가를 실시하기도 했다. 창업 100주년을 한 해 앞둔 95년에는 경영위기 타개를 위해 당시 주력이던 식음료 사업 비중을 낮추면서 33개에 이르던 계열사 수를 20개사로 재편하는 등 체질 개선작업을 주도했다.
유족으로는 아들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과 박지원 두산중공업 회장, 딸 박혜원 두산매거진 부회장 등 2남1녀가 있다. 빈소는 5일 오후 2시부터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진다. 장례는 가족장으로 치러지며 발인과 영결식은 7일, 장지는 경기도 광주 선영이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