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노인·보육·장애인 돌봄 서비스 직접 챙긴다

입력 2019-03-03 21:33 수정 2019-03-04 00:30

‘서울시 사회서비스원’이 11일 출범한다. 그동안 민간 영역에 맡겨졌던 노인 요양, 장애인 활동 지원, 보육 등의 사회서비스를 공공이 직접 제공해서 서비스 품질과 종사자 처우를 개선하고 공공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시는 “최근 서울시 사회서비스원의 원장 등 임원 선임을 완료하고 11일 창립기념식을 개최한다”며 “직원 채용 및 서비스 준비 단계를 거쳐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서울시 사회서비스원은 서울지역에 새롭게 신설되거나 위탁이 만료되는 국·공립 사회복지시설을 직접 운영하게 된다. 기존에는 국·공립 사회복지시설 대부분이 민간 위탁 형식으로 운영돼 왔지만 앞으로는 사회서비스원이 직접 운영한다.

민간 어린이집의 반발이 컸던 보육 분야에 대해서는 사회서비스원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결정했다. 다만 내년부터 해마다 신축 국·공립어린이집 5곳씩을 사회서비스원이 직접 운영해 나가는 방식이다.

서울시 사회서비스원은 산하에 장기요양, 노인돌봄, 장애인 활동 지원 등을 통합적으로 서비스하는 ‘종합재가센터’를 설치해 운영한다. 올해 권역별로 4개 센터를 설치하고 앞으로 25개구 전체로 확대한다. 사회서비스원을 통해 민간 사회복지시설 지원 업무도 시작한다. 대체인력 파견, 법률·회계·노무 전문가 지원, 서비스 표준운영모델 전파 등을 통해 사회서비스 품질 개선을 견인한다는 목표다.

사회서비스원은 서울시가 2016년부터 설립 타당성 검토를 시작 선도적으로 추진해온 사업으로 2017년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로도 채택됐다. 정부는 올해 서울, 경기, 대구, 경남의 4개 시·도에서 사회서비스원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며 2022년까지 전국 광역자치단체로 확대할 계획이다.

서울시 사회서비스원 초대 원장으로는 주진우(55·사진) 전 서울연구원 초빙선임연구위원이 선임됐다. 주 원장 내정자는 서울시 시장실 정책특보와 노동보좌관을 지냈고 현재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 공공일자리전문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다. 감사는 김한규 법무법인 공간 변호사가 맡는다. 권미경(전 서울시의회 의원), 김철(사회공공연구원 연구위원), 남기철(동덕여대 교수), 홍미영(전 민주당 국회의원), 김영명(서강어린이집 원장), 조석영(강북장애인종합복지관 관장)까지 6명은 비상임 이사로 선임됐다.

서울사회서비스원은 본부와 산하시설 500여명 인력으로 출발해 2022년 4000명 조직으로 확대된다. 사무실은 마포구 공덕동 포스트타워에 마련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