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친환경 자동차 시장 규모가 지난해 10만대를 넘어섰다. 하이브리드차가 시장의 양적 성장을 주도한 가운데 수소전기차의 판매 증가세가 눈에 띄었다.
3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발표한 ‘2018년 자동차 신규등록 현황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친환경차의 지난해 연간 판매량은 12만4979대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26.2% 급증한 수치다. 승용차 시장에서 친환경차 점유율은 2015년 2.8%에서 2018년 8.2%로 증가해 서유럽(6.6%)과 미국(3.9%)을 앞질렀다.
종류별로는 수소전기차의 판매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수소전기차는 전용 모델인 현대자동차 ‘넥쏘’(사진)를 중심으로 전년 대비 780% 이상 증가한 731대(버스 2대 포함)가 판매돼 정부 보급목표인 659대를 넘어섰다. 전기차의 경우 다양한 신규 모델이 출시되고 정부의 구매보조금 및 세금감면 규모가 확대되면서 전년 대비 110% 이상 판매가 늘어 연간 판매량 3만대를 넘어섰다.
하이브리드차는 현대차 ‘그랜저’와 기아차 ‘K7’ 등 대형 세단 모델 위주로 판매가 늘었다. 지난해 하이브리드차 최다 판매 모델인 그랜저는 2만4568대의 판매량을 기록했다. 하이브리드차의 전체 판매량은 10% 증가한 9만3094대로, 전체 친환경차 판매의 74.5%를 차지했다. 휘발유 가격 인상과 고급화된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높은 만족도 등이 하이브리드차 판매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전 세계적으로 승용차 시장 내 친환경차 점유율은 늘어나는 추세다. 친환경차 점유율이 가장 높은 일본의 경우 지난해 승용차 시장에서 친환경차 점유율은 32%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KAMA 관계자는 “친환경차 판매가 급성장함에 따라 충전소 인프라 확충과 제도 개선 등이 시급하다. 특히 정부가 올해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이 차질 없이 추진될 필요가 있다”면서 “친환경차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자동차산업 연구개발(R&D) 투자가 확대될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
친환경차 ‘씽씽’… 지난해 국내 판매 12만대 넘었다
입력 2019-03-03 1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