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의 3대 축(생산, 소비, 투자)이 지난 1월 ‘트리플’ 증가했다. 연초 자동차 업계의 신차 출시와 북미 수출 개선, 설 명절 효과 등이 지표를 끌어올렸다. 다만 개선 흐름이 계속될지는 불투명하다. 지난해 경기 침체 여진으로 경기 판단 지표는 1970년대 수준으로 추락했다. 불황의 징조로 불리는 선행종합지수의 장·단기 금리 차이는 92개월 만에 가장 많이 좁혀졌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19년 1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생산과 투자, 소비 모두 상승세로 전환했다. 제조업 생산을 나타내는 광공업생산은 부진을 겪고 있는 자동차 업종이 연초 신차 출시와 북미 수출 개선 등의 영향을 받으며 전체적으로 전월 대비 0.5% 증가했다. 소매판매도 설 명절 효과로 한 달 만에 상승세로 바뀌었다. 투자는 컴퓨터 수입 증가로 기계류 투자가 늘었다. 이에 전월 대비 2.2% 증가했다.
트리플 증가에도 향후 경제 전망은 밝지 않다. 경기 판단 지표는 여전히 곤두박질 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와 향후 3~6개월 경기를 예고하는 동행·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8개월째 동반하락했다. 1971년 7월~1972년 2월 이후 처음이다.
특히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구성 요소 중 장·단기 금리차는 전월 대비 -0.17% 포인트를 기록하며 2011년 5월(-0.24% 포인트) 이후 감소폭이 가장 컸다. 통계청은 매월 장기 금리(국고채 5년물 금리)와 단기 금리(콜금리)의 차이를 계산한 뒤 전월 대비로 격차가 얼마나 달라졌는지 분석한다. 따라서 장·단기 금리차가 마이너스라는 것은 장기 금리가 낮아졌거나 단기 금리가 높아졌다는 의미다.
단기 금리의 경우 중앙은행이 정하는 기준금리에 민감하게 반응해 움직인다. 반면 장기 금리는 5년, 10년이라는 긴 시간을 바탕에 깔고 있어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보다는 경제 전반의 성장잠재력에 대한 기대감에 따라 결정된다. 장기적으로 경제 성장이 기대되면 돈을 묻어두기보다 위험자산 등에 투자한다. 반대로 경기 침체가 우려되면 안전자산인 장기 채권에 수요가 몰리면서 상대적으로 장기 금리가 떨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장·단기 금리차 축소는 경제에 ‘불안한 신호’로 여겨진다.
김보경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광공업과 서비스업 생산이 전달보다 개선됐다”며 “그러나 지난해 부진한 모습이 여전히 남아 있어 개선 흐름 지속 여부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세종=전슬기 기자 sgjun@kmib.co.kr
1월 ‘트리플’ 상승했지만… 경기 침체 먹구름 여전
입력 2019-03-01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