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3·1 운동 100주년… 그때의 大同이 절실하다

입력 2019-03-01 04:02
전 세계에 자주국임을 선언한 3·1운동이 일어난 지 꼭 100년이 됐다. 3·1운동은 조국의 독립을 위해 남녀노소, 계층 구분 없이 전국적 참여로 전개된 세계사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대규모 비폭력 저항이다. 일제의 탄압에 무참히 짓밟혀 비록 그 꿈은 이루지 못했으나 그 정신만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탄생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그 법통을 이어받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됐다. 3·1운동은 지금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뿌리인 셈이다.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일제의 총칼에 맨몸으로 맞선 수많은 순국선열들의 고귀한 희생정신에 절로 숙연해진다. 그러나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가 피 흘려 지키려 했던 선열들의 숭고한 뜻을 제대로 계승하고 있나’라고 반추하면 떳떳함보다 부끄러움이 앞선다. 해방의 기쁨도 잠시 나라는 허리가 잘려 70여년을 적대했고, 그리고 그 반쪽마저 동서로 나뉘어 반목했다.

한반도의 전환이 시작됐다. 격변이라 부를 만큼 이제껏 경험하지 못한 정세의 대변환이다. 바야흐로 전쟁의 위험에서 자유로운 한반도 시대가 열리려 하고 있다. 무엇보다 판문점선언→싱가포르선언→평양선언→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으로 이어진 대화 분위기를 살려 나가야 한다. 그래야 순국선열들이 죽음으로 찾으려 했던 ‘통일조국’ 수립에 한걸음 다가설 수 있다. 통일조국 수립이야말로 선열들의 희생에 진정으로 보답하는 길이다.

반면 사회 갈등은 더욱 심해지고 있다. 사회양극화와 일자리 문제로 대변되는 불안요소는 사회적 불확실성을 가중시키고, 설상가상 퇴행적 이념 논쟁은 사회의 발전적 전진을 가로막는 장애가 되고 있다. 함께 살기보다 나만 살겠다는 집단 이기주의가 초래한 우리 사회의 슬픈 현주소다. 선조들이 사사로운 이익을 접고 모두 함께 사는 길을 선택했기에 3·1운동은 거국적 민족운동으로 승화될 수 있었다. 한반도의 전환기에 선 지금 남녀노소, 계층 구분 없이 모두 하나 된 3·1운동의 대동(大同)정신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