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대입 개편? 교육감협 “수능 비중 줄이고 정시·수시 통합” 주장

입력 2019-02-26 19:45
박종훈 대입제도 개선 연구단장(왼쪽)과 김승환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장이 26일 오전 세종시 어진동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회의실에서 ‘대입제도 개선 연구단 1차 연구보고서’ 발표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뉴시스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가 대입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 비중을 줄이고 정시와 수시를 통합하자는 주장을 내놨다. 수능 폐지까지도 생각해 보자는 입장이다. 교육감들이 수그러들었던 대입 개편 논의에 다시 불을 지피고 있다.

교육감협의회 대입제도개선연구단은 26일 세종시 교육감협의회 사무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입제도 개선 1차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교육감협의회 회장인 김승환 전북교육감과 연구단장인 박종훈 경남교육감이 나선 이날 발표는 수능의 영향력을 줄이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연구단은 대선 공약과 달리 수능 영향력을 강화한 문재인정부를 비판했다. 2015년 개정된 고교 교육과정은 학생 선택을 강화했는데 수능이 강화되면서 혼란이 빚어졌다는 주장이다. 이들은 “수능은 변별 도구가 아닌 학업 역량을 평가하는 척도여야 한다. 전 과목 절대평가와 수능 자격고사화가 대안”이라며 “국가주도 시험인 수능 폐지도 검토해볼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단은 2차 연구에서는 수능 폐지를 주요 부분으로 다루겠다고 강조했다.

수시와 정시를 통합해야 한다는 제언도 했다. 입시 시기를 합쳐야 고3 교육과정이 정상화된다는 것이다. 지난해 대입 개편 과정에서도 논의된 방안이지만 학생 부담이 늘어난다는 이른바 ‘죽음의 트라이앵글’(교과·비교과·수능 모두 잘해야 상위권 대학 가능) 부활 우려 등으로 논의가 더 진전되지는 않았다.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회의 위원인 김경범 서울대 교수도 최근 비슷한 주장을 펴 논란이 됐다. 그는 수능을 절대평가로 전환하고 수시와 정시를 통합하자고 제안했다. 하지만 교육부와 국가교육회의는 대입 개편에 철저히 함구하고 있다. 대입 제도를 섣불리 건드리면 고교학점제나 국가교육위 등 주요 교육정책이 어그러질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한쪽에서 불을 지피면 한쪽에선 끄기 바쁜 형국이다.

수능 강화를 주장하는 쪽은 반발했다. 공정사회국민모임은 “숙명여고 내신비리 사태와 드라마 스카이캐슬로 학종 불신이 극에 달했는데 교육감들은 정치 이념에 사로잡혀 완장 놀이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