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항구적 평화 위해 초당적 대처”

입력 2019-02-25 19:08
문희상 국회의장과 여야 5당 원내대표들이 25일 국회 의장실에서 회동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소하 정의당, 장병완 민주평화당,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문 의장, 나경원 자유한국당,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 최종학 선임기자

여야 5당이 25일 2차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지지하는 내용의 공동성명 채택에 합의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방남할 경우 국회 연설도 가능할 것이란 전망도 조심스레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자유한국당 나경원, 바른미래당 김관영, 민주평화당 장병완, 정의당 윤소하 원내대표는 “2차 북·미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와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정착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울 수 있기를 강력히 희망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국회는 회담 결과를 예의주시하며 이후 상황에 초당적으로 대처하기로 한다”고 덧붙였다. 성명에는 “이번 정상회담은 굳건한 한·미동맹에 기반해 진행돼야 하며 향후 주변국과의 공조도 강화해 나가야 함을 천명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원내대표들은 오전에 문희상 국회의장의 주재로 가진 회동 자리까지만 해도 국회 정상화에 이견을 보이며 충돌했다. 이에 따라 북·미 정상회담 지지 성명에도 합의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후 오찬에서 문 의장의 요청에 따라 성명 채택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의장 측은 지난 11일 여야 대표단과 미국을 방문했을 당시 나 원내대표의 현장 발언을 참고해 한국당의 반대가 나오지 않도록 사전에 적절한 문구를 준비한 것으로 전해졌다.

나 원내대표는 성명 발표 뒤 “정부가 남북 관계에서 편향되거나 과속하는 문제는 제1야당으로서 견제하지만 북·미 회담의 성공으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진전되는 것은 당연히 찬성할 문제”라며 “우리 당도 이번 회담이 잘돼야 한다는 것에 반대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정부가 지난해 9월 국회에 제출한 판문점선언 비준동의안이 계류 중인 상황과 비교할 때 이번 성명 채택에는 별다른 예산 소요가 없다는 점도 합의가 가능했던 요인이다.

여야의 이번 합의로 김 위원장의 국회 연설에 파란불이 켜졌다는 관측도 나온다. 문 의장은 김 위원장만 희망한다면 이를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수차례 밝혀 왔다. 국회 관계자는 “북·미 정상회담에서 가시적 성과가 나올 경우 김 위원장이 공개적인 자리에서 대량살상무기(WMD) 폐기와 북한 인권 개선 등을 약속할 수 있게 기회를 제공한다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