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청년 폄하’ 논란 이어 ‘대리사과 자중지란’까지

입력 2019-02-25 19:10 수정 2019-02-25 21:31

최근 소속 의원들의 20대 청년 폄하 발언 논란에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대리 사과’를 했지만, 해당 의원이 공개적으로 반박하고 나서면서 여당이 자중지란에 빠져들고 있다.

홍영표 원내대표는 2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요 며칠, 20대 청년과 관련해 우리 당 일부 의원들의 발언이 논란이 됐다”며 “이유를 불문하고 분명히 잘못됐다. 원내대표로서 깊은 유감과 함께 머리 숙여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논란이 된 홍익표(사진) 의원과 설훈 의원의 발언을 겨냥한 얘기였다.

하지만 대리 사과는 오래가지 못했다. 핵심 당직인 수석대변인까지 맡고 있는 홍 의원이 곧바로 사과에 대해 반박 입장을 내놓았기 때문이다. 홍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원내대표가 내 발언의 취지를 잘 모르고 사과를 한 것 같다. 원내대표의 사과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그러면서 본인 발언의 취지를 다시 한 번 설명했다. 홍 의원은 “이명박·박근혜정부의 강경한 대북 정책 기조 하에서 남북한의 대결의식과 반북 이데올로기 강화가 당시 교육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는 게 발언의 골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마치 내가 당시 반공교육을 받은 젊은 세대 때문에 당 지지율이 적게 나온다고 발언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명백한 가짜뉴스”라고 주장했다. 20대 청년들의 인식 자체를 지적한 게 아니라 지난 정권 아래에서 사회적 분위기가 보수화됐음을 지적하기 위한 언급이었다는 해명이다.

앞서 설 의원도 한 언론 인터뷰에서 20대 남성층 지지율 하락의 원인으로 ‘교육’을 지목하면서 논란을 키웠다. 설 의원은 “지금 20대를 놓고 보면 그런(민주주의) 교육이 제대로 됐나 하는 의문은 있다”는 발언을 했다가 뒤늦게 사과했다. 다만 최고위원 자격으로 참석한 이날 회의에서는 공개적인 언급을 피했다.

자유한국당은 “홍 원내대표의 사과는 망언 사태를 이쯤에서 종결해보겠다는 정치공학적 의미밖에 없다”며 “두 의원에 대해 국민이 납득할 만한 수준의 징계 조치를 해야 한다”고 비판했다.김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