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한국 제조업의 노동생산성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미국 비영리 민간조사기관 콘퍼런스보드 자료를 이용해 41개국의 ‘제조업 생산성 및 단위비용 국제비교’를 실시한 결과 한국의 1인당 노동생산성은 2002~2009년 연 7% 증가했지만, 2010~2017년 연 2.8%로 빠르게 둔화하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41개국 전체로는 2002~2009년 1인당 노동생산성이 연평균 3.4% 증가했고, 2010~2017년은 3.5% 늘었다.
한국은 금융위기 이전까지 노동생산성 향상 속도가 빨랐지만, 이후에는 평균 아래로 떨어진 셈이다. 2002~2009년 한국은 중국, 폴란드, 슬로바키아, 루마니아에 이어 세계에서 5번째로 생산성이 높았으나 2010~2017년은 28번째에 그쳤다.
반면 제품 하나를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인 ‘단위노동비용’은 한국의 경우 2002~2009년 연 0.8% 증가했지만 2010~2017년에는 2.2%로 증가폭이 커졌다. 같은 기간 41개국 평균을 보면 2002~2009년 연평균 6% 증가했으나 2010~2017년에는 1.7% 감소했다. 전반적으로 단위노동비용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한국은 오히려 비용이 증가한 것이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제조업 노동생산성 7년간 연 2.8% 증가에 그쳤다, 41개국 평균은 3.5%
입력 2019-02-25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