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보해체 낙동강까지 확산되나” 농민들 술렁

입력 2019-02-24 20:26
정부가 4대강 보 개방에 이어 해체 방침까지 밝히자 대구·경북지역 농민들이 술렁이고 있다. 보 개방으로 인한 농업용수 부족을 호소하는 농민들은 보 해체 방침이 낙동강지역으로까지 확산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24일 대구시와 경북도 등에 따르면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기획위원회가 지난 22일 금강과 영산강의 보 일부를 해체하는 안을 내놓았다. 이날은 환경부가 낙동강 상주·낙단보를 보 건설 후 처음으로 부분 개방한 직후여서 농민들의 관심이 더 집중됐다.

지역 농민들은 일단 보 해체는 지역과 무관할 것이라고 믿고 있다. 하지만 보 해체가 정부 방침으로 굳어질 경우 격렬하게 반대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앞서 환경부는 지난해 칠곡보를 제외한 낙동강 7개 보를 열어 수문 개방 영향을 관측하려 했지만 상류 3개 보 인근 농민들의 반발로 연기됐다. 하지만 주민 합의를 통해 지난달 구미보를 열었고 이달 상주·낙단보를 개방했다.

상주·의성·구미지역 농민들은 “농업용수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해 합의한 것으로 보 해체가 전제되지 않았기 때문에 지역에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본다”면서도 “만약 보 해체 논의가 있을 경우 가만있지 않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지난 22일 대구지방환경청 앞에서 보 개방 반대 집회를 연 대구 달성군 농민단체들도 “보 개방으로도 농사에 어려움을 겪는데 보 해체가 현실화 될 경우 농사를 그만둬야 한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대구·경북 지자체들은 정부의 정책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달성군 관계자는 “보 해체 방침이 낙동강지역에 당장 영향을 주지는 않겠지만 농민들이 워낙 예민하게 생각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정부 움직임을 계속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