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SK하이닉스 ‘120조 반도체 클러스트’ 낙점 받은 이유

입력 2019-02-22 04:01
사진=뉴시스

SK하이닉스가 120조원 규모의 반도체 클러스터 후보지로 경기도 용인시를 낙점했다. 정부가 최종 승인하면 이천-청주-용인으로 이어지는 ‘반도체 삼각벨트’가 완성된다.

21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반도체 클러스터 부지 조성을 위해 설립된 특수목적회사(SPC) ㈜용인일반산업단지는 20일 용인시에 투자의향서를 제출했다. SPC가 신청한 부지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일대로 약 448만㎡(약 135만평) 규모다.

SK하이닉스가 용인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보다 인재 확보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국내외 우수 인력을 유치하려면 사업장이 수도권에 있어야 한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서울과 멀어질수록 고급 인재들이 선호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비슷한 예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서울 서초구에 각각 연구개발(R&D)캠퍼스를 둔 것도 서울과 수도권을 선호하는 인재들을 확보하기 위한 결정이었다.

또 용인 인근에는 기흥, 화성, 평택, 이천, 청주 등 반도체 사업장이 밀집해 있어서 연계성이 높다는 점도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된 것으로 보인다. 업체들이 밀집해 있으면 대·중·소기업 간 협력 생태계를 조성하기 유리하다는 것이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회원사 244개사 중 약 85%가 서울 및 경기권에 있어 용인에 신규부지가 조성된다면 실시간 유기적 협력관계가 가능해진다.

부지가 확정되면 SK하이닉스는 공장부지 조성이 완료되는 2022년 이후 120조원 규모를 투자해 반도체 팹(FAB) 4개를 건설할 계획이다. 국내외 50개 이상 장비·소재·부품 협력업체도 이 단지에 입주해 반도체 생태계 강화를 위한 시너지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반도체 클러스터가 확정되면 이천은 본사 기능과 R&D, D램 생산기지, 청주는 낸드플래시 생산기지, 용인은 D램 및 차세대 메모리 생산기지 및 반도체 상생 생태계 거점 역할을 하게 된다. 이천, 청주 사업장에 대한 투자도 지속한다. 이천에는 M16 구축과 연구개발동 건설 등에 약 10년간 20조원 규모를 투자할 계획이다. 청주에는 지난해부터 가동 중인 M15의 생산능력 확대를 포함해 약 10년간 35조원 규모의 투자를 집행한다.

하지만 정부의 최종 승인이 남아 있어 상황은 유동적이다. 반도체 클러스터 부지는 용인시-경기도-산업통상자원부-국토교통부 등을 거쳐 수도권정비위원회에서 공업용지 배당을 결정한다. 수도권정비위원장은 국토부 장관이 맡는다. 반도체 클러스터 부지 후보로 용인시가 선정된 것에 대해 그동안 유치를 희망했던 지방자치단체들은 반발하고 있다. 만약 용인이 반도체 클러스터 부지로 최종 결정되지 않으면 SK하이닉스는 다른 지역에 대한 투자는 검토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SK그룹은 이와 별도로 향후 5년간 5대 중점 육성 분야에 총 37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구미에 있는 반도체 웨이퍼 생산업체 SK실트론은 SK그룹에 편입된 2017년 이후 생산능력 확대를 진행 중이며, 향후 2년간 약 9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