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대면보고를 진행한 7개 부처를 제외한 나머지 부처의 올해 업무보고를 서면보고로 대체하기로 했다. 현 정권 들어 업무보고가 서면으로 이뤄지는 건 처음이다. 3월 초로 예상되는 개각과 2차 북·미 정상회담, 경제 행보 등으로 시간이 빠듯하고,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부임 이후 대통령에게 숙고할 시간을 주자는 취지에서 대면보고를 줄이려는 기조가 반영된 때문으로 보인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19일 “아직 업무보고를 하지 않은 부처의 보고는 서면으로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말 교육부와 농림축산식품부 등 7개 부처로부터 대면 업무보고를 받았다. 부처 업무 추진에 속도감을 주기 위해 청와대가 통상 1월인 보고 시기를 한 달여 앞당겼었다. 청와대는 지난해 8월 개각 당시 장관이 바뀐 부처 가운데 일부를 선정해 보고를 받았다.
당초 외교부 등 장관이 유임될 것으로 알려진 부처는 1월을 목표로 업무보고를 준비해 왔지만 청와대로부터 아직도 연락을 받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각 부처의 업무보고 시점은 애매해진 상황이다. 장관 교체 후 업무보고를 하는 게 자연스럽지만 아직까지 개각 일정은 유동적이다. 인사청문회를 거쳐 3월 말 부처별 진용이 꾸려진다면 보고 시점이 너무 늦어진다.
김 대변인은 “남아 있는 부처가 다 대면보고를 하기엔 물리적, 시간적으로 촉박하고 다른 국정 현안도 많아 대면보고를 진행하기엔 무리가 있다”며 “각 부처에서 서면보고 준비는 거의 다 마무리돼 있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연초 대통령의 지역 방문 일정 등이 겹치면서 시간을 내기 어려웠다”고 덧붙였다.
청와대는 기획재정부와 외교부, 통일부 등 11개 부처에 대해 곧 서면 업무보고를 지시할 계획이다. 다만 서면보고 대상 부처가 개각 대상이 아니냐는 관측에 대해 청와대 측은 “사실이 아니다”고 부인했다. 업무보고 방식과 시점이 결정되면서 선(先) 업무보고, 후(後) 정책발표를 해오던 부처들이 업무 추진에 좀 더 속도를 내게 됐다.
역대 정부에서도 서면보고는 종종 이뤄졌다. 2013년 박근혜 당시 대통령은 공정거래위원회 업무보고를 서면으로 받았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부처로부터 서면보고를 먼저 받은 뒤 이를 검토하고 직접 부처를 방문한 바 있다.
한편 문 대통령은 대통령비서실 과학기술보좌관에 이공주(64) 이화여대 약학과 교수를 임명했다. 이 보좌관은 풍문여고와 이화여대 제약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생물리화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김 대변인은 “이 신임 보좌관은 대표적인 1세대 여성 과학자이자 생화학·프로테오믹스(Proteomics)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라며 “다양한 행정 경험을 바탕으로 과학기술 분야 개혁에 기여할 적임자”라고 설명했다. 이로써 지난해 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으로 자리를 옮긴 문미옥 전임 보좌관에 이어 여성 과학자가 연속으로 과학기술 사령탑을 맡게 됐다.
새만금개발청장에는 김현숙(59) 전북대 도시공학과 교수가 임명됐다. 김 신임 청장은 전북대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와세다대에서 건축공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 국무총리실 산하 새만금위원회 위원이며 대통령직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대형 이슈 너무 바쁜 文 대통령… 11개 부처 업무보고 서면으로
입력 2019-02-19 1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