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하는 서울 복지… 동주민센터에 ‘돌봄SOS센터’ 만든다

입력 2019-02-17 22:48

‘찾아가는 복지’로 복지행정의 패러다임을 바꿨다는 평가를 받는 서울시의 ‘찾동(찾아가는 동주민센터)’이 진화한다. 이번 타깃은 돌봄 사각지대다. 고령이나 독거, 장애, 사고 등의 이유로 돌봄 수요가 있지만 자격이 맞지 않아 기존 돌봄서비스를 받을 수 없었던 이들에게 긴급돌봄을 제공하는 ‘돌봄SOS센터’가 동주민센터에 생긴다.

서울시는 오는 7월부터 성동·노원·은평·마포·강서구까지 5개 자치구에서 돌봄SOS센터를 시범운영한다고 17일 밝혔다.

돌봄SOS센터는 기존 찾동 내에 설치되며, 사회복지직과 간호직 공무원으로 구성된 전담인력인 ‘돌봄매니저’가 배치된다. 또 찾동을 시작할 때와 마찬가지로 5개 자치구 시범운영으로 시작해 2021년 전 자치구로 확대한다.

찾동이 복지공무원과 간호사가 주민들 가정으로 찾아가 복지 사각지대를 발굴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연결해줬다면, 신설되는 돌봄SOS센터는 돌봄매니저가 집으로 찾아가 어떤 돌봄서비스가 필요한지 파악하고 시설이나 서비스로 연계해준다.

노인, 장애인, 치매환자 등 돌봄 수요가 있는 주민들은 누구나 돌봄SOS센터에 전화나 방문을 통해 돌봄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신청이 접수되면 돌봄매니저가 72시간 내 집으로 찾아간다. 돌봄SOS센터의 긴급돌봄서비스는 각 동별로 사전에 확보한 지역 내 돌봄기관으로 연계해주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서비스 비용은 무료가 아니며, 소득수준이나 서비스종류에 따라 차등부담율이 적용될 예정이다.

장기요양등급 탈락자나 홀몸노인, 장애인이 갑작스런 질병이나 사고로 돌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요양보호사의 가사·간병서비스를 연간 최대 5일간 지원받을 수 있다. 홀몸노인, 노인부부 가구, 장애인 단독가구 등 일상적인 활동이 어려운 대상자에게는 협동조합이나 마을기업, 자활기업 같은 지역 내 사회적경제 기업들이 제공하는 병원방문 동행, 도시락 배달, 형광등 교체 같은 돌봄서비스를 연계해준다.

또 홀몸노인, 노인부부 가구, 퇴원자, 장애인 단독가구 등 건강관리가 취약한 주민들에게 돌봄매니저와 보건소의 마을의사, 간호사 등으로 구성된 ‘건강돌봄팀’이 가정으로 방문해 만성질환 관리를 해준다. 서울시 관계자는 “돌봄SOS센터는 저소득층이나 중증대상자 중심이었던 돌봄서비스를 필요한 시민 누구에게나 제공하기 위한 사업”이라며 “돌봄SOS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내 공공·민간기관들이 촘촘하게 연계·협력하는 ‘서울형 통합 돌봄체계’를 구축, 포괄적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