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2차 북·미 정상회담 열리는 베트남行 무산

입력 2019-02-14 18:56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청와대에서 제바스티안 쿠르츠 오스트리아 총리와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이병주 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2차 북·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 베트남행(行)이 최종 무산됐다. 문 대통령은 북·미 회담이 열리는 오는 27일 청와대에서 정상급 외빈과 만남을 갖는다. 문 대통령은 한국에서 북·미 회담 결과를 주시하며 종전선언과 평화체제 구축을 포함한 한반도 비핵화 전략을 구상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14일 “문 대통령은 2차 북·미 정상회담 첫날 다른 정상과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베트남에 가지 않고, 다른 일정을 소화한다는 뜻이다. 2월 말 ‘북·미-미·중’ 연쇄 정상회담 개최가 무산되면서 4자 종전선언 논의 가능성이 사라졌다는 게 청와대의 판단이다.

남북 정상이 지난해 9월 평양에서 합의한 ‘3·1절 100주년 남북공동기념행사’도 간소하게 치러질 전망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우리 측의 공동행사 제안에 아직 북측의 구체적인 답이 온 것이 없다”며 “남북공동기념행사를 규모있게 하기엔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안팎에선 공동행사가 뒤로 미뤄지거나 북한에서 특사가 오는 정도로 마무리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문 대통령은 남북 관계를 제외한 외교 일정도 소화할 계획이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오는 22일 문 대통령과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갖는다. 모디 총리의 방한은 2015년 이후 4년 만이다. 양 정상은 한국의 신남방정책과 인도의 신동방정책(Act East Policy)을 조화롭게 추진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할 계획이다. 모디 총리는 이번 방한에서 ‘서울 평화상’을 받을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14일 청와대에서 제바스티안 쿠르츠 오스트리아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과거 나치에 동참했던 책임을 인정하는 것에 깊이 공감한다”며 “정의와 진실의 원칙하에 불행한 과거 역사를 직시하는 것은 미래지향적인 발전의 토대가 된다”고 말했다. 자국 출신의 히틀러를 지지했던 오스트리아가 과거를 반성했듯 일본 역시 책임을 져야 한다는 메시지로 풀이된다.

박세환 최승욱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