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병원 응급실 과밀 해소가 시급하다”

입력 2019-02-17 17:29
응급실 CPR 모습.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 윤한덕 센터장이 의료기관 내 집무실에서 사망했다. 응급의료전문가이자 응급의료체계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지만 정작 자신의 응급상황에는 대처하지 못했다. 윤 센터장이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열흘의 연휴, 응급의료는 그것만으로도 재난’이라는 말처럼 민족 대 명절 ‘설’을 하루 앞둔 저녁이라는 특수성 때문만일까.

응급의료전문가들은 ‘안타까운 죽음’이라는 말만 반복했다. 도움을 청하는 등 대처할 수 있는 시간조차 부족했던 긴박한 상황이었을 것이라고 유추할 뿐이다. 그렇다면 불과 50일 전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응급의료 기본계획’이 완성될 경우 윤 센터장과 같은 죽음을 막을 수 있느냐는 질문엔 조심스레 고개를 저었다.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는 지난해 12월27일 ‘응급의료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지역 완결형’ 응급의료체계를 구축하겠다는 큰 그림아래 응급의료체계가 나아가야할 개략적인 방향이 담겼다. 응급환자 발생시점부터 생명의 위험에서 회복되기까지 응급의료 제공자 간 신속하고 유기적인 연계, 치료·처치의 적정 시기라는 골든타임 확보 등을 보장하는 내용이다.

복지부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든든한 사회안전망이라는 비전하에 2022년까지 외상, 심근경색, 뇌졸중 등 중증응급질환의 사망률을 질환별 최대 25% 이상 줄이고, 국민들의 응급의료서비스 신뢰도를 20% 이상 높이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문제는 “기본계획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전문가들이 지적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 수도권 대학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기본계획을 수립하게 된 배경 중 하나인 수도권 응급실의 과밀화 문제를 해결할 방안이 포함돼있지 못하다”고 꼬집었다. 수가나 제재수단을 동원해 경증환자의 응급실 이용을 어렵게만 만들 것이 아니라 환자가 순환할 수 있는 전원체계가 마련돼야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반대로 지방 응급의료센터 관계자는 “과밀화도 문제지만 지방의 경영악화 문제도 함께 고민해야한다. 일부 지역센터는 환자나 의료인력이 없어 응급실이 비어있거나 유명무실해지고 있다”며 “응급의료체계 내 권역과 지역센터, 지역기관 간 역할과 기능을 확립하고 연계체계를 보강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과거 응급의료정보센터 ‘1339’가 가진 의료상담기능을 119 혹은 별도의 체계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복지부 관계자는 “지금의 기본계획은 큰 줄기를 바탕으로 방향성을 제시한 수준이다. 기본계획을 윤한덕 센터장과 만들면서도 앞으로 구체화시켜나가자고 약속했고 함께 고민해왔다. 여전히 부족하고 현장의 어려움이나 현실을 담지 못한 부분이 분명히 있지만 유지를 잇는다는 차원에서라도 제대로 작동할 수 있는 응급의료체계를 함께 만들어갈 것”이라며, 임상현장과 국민들의 관심과 지원도 함께 당부했다.

오준엽 쿠키뉴스 기자 oz@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