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13일 5·18 광주민주화운동 폄훼 논란을 빚은 김진태·김순례·이종명 의원에 대한 당 차원의 징계 논의에 들어갔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당 윤리위원회에 회부된 김진태 의원은 당규에 적시된 전당대회 출마 후보자 신분 보장 규정을 근거로 “윤리위 회부와 관계없이 전대를 완주할 것”이라며 당권 행보를 계속했다. 김 의원 지지자들은 국회까지 진입하며 김 의원 징계 저지를 위한 실력 행사에 나섰다.
김 의원은 오후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어제 당대표 후보로 등록했는데 윤리위에 회부되는, 말도 안 되는 상황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이어 당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 관련 당규에 ‘전대에 출마하는 후보자들은 후보자 등록 이후부터 당 선거관리위원회의 당선인 공고 때까지 윤리위 회부와 징계 유예를 받는다’는 규정을 언급하며 “당 비상대책위원회나 윤리위는 후보에 대한 징계를 보류하고 전대에 영향을 미치는 어떤 행동도 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열린 한국당 윤리위 회의에서도 일부 윤리위원들은 이 당규를 언급하며 김 의원과 최고위원 경선에 출마한 김순례 의원이 징계 대상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회의는 결론을 내지 못했다. 윤리위는 당규에 따라 과반 출석, 과반 찬성으로 경고, 당원권 정지, 제명, 탈당 권유 4종류의 징계안을 의결할 수 있는데 전대 출마자인 이들 의원이 당원권 정지 이상의 처분을 받으면 피선거권이 박탈돼 전대에 출마할 수 없게 된다. 윤리위에서는 윤리위에 회부된 세 의원의 징계 수위를 각각 다르게 적용하는 방안도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태극기 세력’으로 분류되는 김 의원 지지자 200여명은 윤리위 회의 한 시간 전부터 한국당 영등포 당사 앞에 집결해 김 의원에 대한 윤리위 제소 반대 시위를 벌였다. 이 자리에는 5·18 북한군 개입설의 장본인인 극우 논객 지만원씨도 참석했다. 이들이 당초 윤리위 회의가 열리기로 한 여의도 기계회관 앞까지 들이닥치면서 윤리위도 숨바꼭질하듯 장소를 옮겨 비공개로 회의를 진행해야 했다. 김 의원 지지자들은 ‘윤리위 제소 당장 취소하라’ 등이 적힌 팻말을 들고 국회까지 들어와 시위를 이어갔다. 이들은 전날 밤부터 김영종 윤리위원장을 비롯한 한국당 관계자들에게도 릴레이 전화를 걸거나 ‘문자 폭탄’을 퍼부었다. 김 윤리위원장은 “전날 밤부터 3000통이 넘는 전화가 왔다”고 말했다. 당사자인 김진태 의원은 “제 갈 길을 가겠다”면서 청와대 앞으로 자리를 옮겨 드루킹 댓글조작’ 사건과 관련해 대선 무효를 주장하며 1인 시위를 벌였다.
한국당은 14일 오전 7시30분에 2차 윤리위 회의를 열기로 했다. 오전 비대위 회의가 끝나기 전 윤리위 결정이 통보될 경우 징계안을 바로 의결한다는 방침이다. 김용태 사무총장은 “14일에는 반드시 결론을 내겠다”고 말했다. 전날 세 의원 징계 방침을 밝힌 김병준 비대위원장은 5·18 관련 단체 인사들을 만나 거듭 사과했다.
민주당은 국회에서 ‘5·18 망언 어떻게 처벌할 것인가’를 주제로 긴급 토론회를 개최하며 한국당 세 의원 제명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홍영표 원내대표는 “여전히 정신을 못 차리는 한국당 망언 의원 3인방은 국회에서 추방하는 것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중앙지검은 허위사실 유포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고발된 한국당 세 의원과 지씨 사건을 형사1부에 배당하고 검토에 들어갔다.
이종선 김판 안대용 기자 remember@kmib.co.kr
태극기 부대에 쫓겨다닌 한국당… ‘5·18 망언’ 결론도 못내
입력 2019-02-14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