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7 자유한국당 전당대회 연기를 요청하며 전대 보이콧을 선언했던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12일 보이콧을 접고 당대표 경선 참여를 선언했다. 최근 ‘5·18 민주화운동 폄훼’ 논란 등 당의 급격한 우경화를 막겠다는 명분을 내세웠다. 5·18 논란에 휩싸인 김진태 의원이 당 윤리위원회에 회부되면서 당대표 경선이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 오 전 시장의 친박근혜 대 비박근혜계 양강 구도로 전개될 전망이다.
오 전 시장은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과거로 퇴행하는 당의 역주행을 막아내겠다”며 전대 출마 입장을 밝혔다. 그는 “당의 비상식적 결정(전대 연기 요청 거부)에는 동의하기 어렵지만, 특정 지역과 이념만 추종하는 정당으로 추락하는 것만은 막아야겠다는 생각에 출마를 결심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내가 후보 등록을 거부하면 개혁보수를 지지하는 당원이 마음 둘 곳이 없게 된다”고 강조했다. 오 전 시장과 함께 전대 보이콧을 선언했던 심재철·정우택·주호영·안상수 의원은 불출마 뜻을 밝혔다.
황 전 총리는 친박 세력과 영남 지역 당원을 중심으로 지지세가 강한 반면, 오 전 시장은 비박 세력과 수도권 지역 당원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당 관계자는 “이번 전대 결과는 보수색 강화와 중도로의 확장 사이에서 당의 향후 진로와 확장성을 가늠하는 척도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태극기 표심’을 등에 업고 전대 돌풍을 예고했던 김 의원은 5·18 논란으로 발목이 잡힌 모양새다.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이 김 의원 등에 대해 당 윤리위 회부 의사를 밝히면서 김 의원 징계 여부가 당권 구도의 변수로 부상했다. 윤리위 규정에 따르면 당에 극히 유해한 행위를 했거나 당의 위신을 훼손했을 때 제명, 탈당 권유, 당원권 정지, 경고의 징계를 내릴 수 있다. 윤리위가 김 의원에 대해 당원권 정지 이상의 처분을 내릴 경우 피선거권이 박탈된다.
김 의원의 참여 여부와 관계없이 당대표 경선은 박근혜 전 대통령을 둘러싼 논쟁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 황 전 총리는 최근 제기된 대통령 권한대행 시절 박 전 대통령 홀대 논란을 일축하며 친박 끌어안기에 나섰다. 오 전 시장은 “박근혜를 넘어야 보수가 산다”며 ‘극박(극박근혜)’론을 적극 펼치고 있다. 그는 이날도 “한국당이 두 전직 대통령을 위한 당이 아니라는 점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고 작심 발언을 이어갔다.
이날 황 전 총리와 오 전 시장, 김 의원 3명이 당대표 후보로 최종 등록했다. 기호 추첨 결과 황 후보가 1번, 오 후보 2번, 김 후보는 3번을 부여받았다. 세 후보는 14일부터 전대까지 14일간 선거운동을 벌인다. 자천타천 당권주자가 10명을 웃돌았던 연초에 비해 실제 당대표 경선 열기는 많이 식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반면 최고위원 경선 열기는 예상외로 뜨겁다. 현역 의원 중에서 조경태(4선)·김광림(3선)·윤재옥·윤영석(이상 재선)·김순례·신보라(이상 초선) 의원이 후보 등록을 마쳤다. 원외에선 정미경 전 의원과 박진호 경기도 김포갑 당협위원장, 조대원 경기 고양정 당협위원장 등 12명이 도전장을 냈다. 한국당은 전대에서 여성 1명을 포함한 최고위원 4명과 청년 최고위원 1명을 선출한다. 지도부에 선출되면 내년 총선 공천 때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이종선 심우삼 기자 remember@kmib.co.kr
오세훈, 전대 보이콧 철회… 한국당 당권 ‘黃-吳’ 혈투로
입력 2019-02-13 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