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업, 친환경차 인프라 구축에 속도 낸다

입력 2019-02-11 19:55 수정 2019-02-11 21:48
에스트래픽㈜이 운영하고 있는 이마트 죽전점의 전기차 충전소에서 11일 모델이 충전을 시연하고 있다. 기아자동차 제공

올해 서울시내에서만 2만5000대의 수소차·전기차가 달릴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와 기업이 친환경차 관련 인프라 확충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그동안 수소차나 전기차 등 친환경차 보급을 가속화할 여건이 조성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계속돼 온 데 따른 것이다.

정부가 11일 규제 특례를 통해 도심에 수소충전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허용함에 따라 국내 수소차 충전 인프라 확대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안에 국회를 비롯한 전국 8곳에 수소충전소를 자체 구축할 계획이다. 연구용 설비지만 일반 시민에게 개방했던 양재그린스테이션의 경우 3분기 중 리뉴얼해 상업용으로 다시 연다고 밝혔다. 더불어 에너지, 충전설비, 수소공급, 완성차 및 부품 등 다양한 업체들이 참여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인 수소에너지네트워크주식회사 ‘하이넷(HyNet)’도 이달 법인 설립을 마무리하고 본격 운영된다. 하이넷에는 한국가스공사와 현대차, 에어리퀴드코리아 등이 참여한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현재 10여곳 수준인 전국의 수소충전소가 연말에는 수십 곳으로 확대될 전망”이라며 “하이넷이 본 궤도에 오를 경우 수소충전소가 보다 빠른 속도로 구축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기차 충전소 인프라도 확대된다. 기아자동차는 국내 민간 전기차 충전사업자(CPO)들과 함께 국내 전기차 인프라 확대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이날 밝혔다. 기아차는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 에스트래픽㈜과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에 관한 파트너십을 맺고 국내 전기충전 기반시설 확대 등 전기차 이용자의 편의 향상을 위해 다각적으로 협력할 방침이다.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는 개인·개인사업자 및 홈충전사업, 에스트래픽㈜은 법인 및 공용충전사업을 담당한다. 이를 통해 전국 지점, 대리점, 서비스 협력사는 물론 주유소, 마트 등에 충전 거점을 확보해 운전자들이 국내 어디서나 편리하게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정부의 ‘규제 샌드박스’의 첫 승인 대상에도 ‘전기차 충전 지원 과금형 콘센트’가 포함됐다. 기존 전기사업법에는 전기 판매사업자가 한국전력 등으로 제한돼 있어 법에서 정한 사업자가 아니면 전기차 충전용 전기를 판매할 수 없게 돼 있다. 전기차 충전사업자의 사업 범위를 재해석하고 과금체계를 변경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 규제를 풀겠다는 것이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올해도 다양한 친환경차를 선보일 예정인 가운데 딜로이트 컨설팅은 전기차 가격이 2022년엔 내연기관차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기술 비용 절감과 배터리 가격 하락, 각국의 연비 및 배기가스 규제 강화, 전기차 구매 및 충전 인프라 확대 보조금이 전기차 보급을 가속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딜로이트 컨설팅은 전세계 전기차 판매량이 지난해 200만대에서 2030년 2100만대로 10배 이상 급증할 것으로 예상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