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가 남북 농업교류를 통한 평화기반 조성에 나선다. 강원도는 남북교류 재개에 대비해 남북 강원도의 지리적 특수성을 활용한 농업교류 기반 구축에 나선다고 11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유엔 대북제재와 북미협상 상황 등 대내외 여건을 고려해 단계별 농업교류협력을 추진한다. 1단계는 민·관 협의체 구성 등 사전 농업교류 기반 구축, 2단계는 농업교류 합의와 북한 농업기반 공동조사 시행, 3단계는 공동축산단지와 원예농산물 공동 생산단지 조성 등 농업 분야 협력사업으로 추진된다.
우선 남북 농업교류 사업의 발굴과 사업내용 구체화를 위해 오는 25일쯤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강원도 남북농업교류 협의회’를 창립할 예정이다. 협의회는 남북강원도협력협회와 농·축협, 강원대, 강원연구원, 농업기술원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다.
농촌 일손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남북 강원도 농업 분야 계절근로자 교류사업도 추진한다. 도내에서 체류 중인 외국인 노동자를 대신해 문화·정서적인 격차가 적은 북한 노동력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북한의 농업인력을 6개월 정도 강원도 내 농가에 파견해 농촌일손 부족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작물 재배기술을 전수하며 농업 부문 민간교류를 지속하겠다는 구상이다. 강원도는 농촌 일손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2016년부터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도입해 운영 중인데 당시 57명에 불과하던 외국인 근로자는 2017년 520명, 지난해 1403명으로 급증했다.
원예작물 남북 공동 생산단지 조성 계획도 마련됐다. 수입 의존도가 높은 배추와 마늘, 고추 등 채소류를 남북 공동생산단지에서 생산한다는 것이다. 남측 재배기술과 북측 노동력을 결합해 북한 기후에 맞는 우량 품종을 공동 연구·개발하고 지구 온난화에 대응해 사과 등 과수 우량묘목 생산단지를 조성할 방침이다.
남북 강원도 공동축산단지도 운영할 예정이다. 공동축산단지는 북측 강원도 평강·이천·세포군에 걸쳐 조성된 세포등판목장(4만9000㏊)에서 추진된다. 삼양목장(967㏊)의 50배에 달하는 세계 최대 목장으로 북강원도의 축산물 생산기반을 구축하고, 강원도 내 축산입지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재복 도 농정국장은 “북한의 만성적인 식량난은 외부 도움 없이 자체 해결이 불가능해 식량 자급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며 “남북 농업교류는 북측의 식량 자급 능력을 높여 중장기적으로 통일비용을 낮추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강원도, 북한과 농업교류로 ‘평화의 씨앗’ 뿌린다
입력 2019-02-11 1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