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어라 바람아… 미세먼지 골머리 지자체들 ‘숲길’ 주목

입력 2019-02-07 19:07
대구시 도심 ‘바람길 숲’ 조성 계획도. 대구시 제공

미세먼지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들이 ‘숲길’에 주목하고 있다. 차량2부제, 도로 청소차 운영 등 기존 미세먼지 저감 조치로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한 지자체들이 자연의 힘에 기대를 걸고 있는 것이다.

대구시는 2022년까지 미세먼지 저감과 도시열섬 완화를 위해 482억원의 예산으로 도심 곳곳에 100개의 도시숲(188.94㏊)을 만들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대구를 둘러싼 팔공산과 앞산, 대덕산 등의 산림에서 생성되는 산바람을 숲길을 통해 도심으로 끌어들인다는 계획이다.

대구시는 올해 10억원의 예산으로 산바람이 고층 빌딩이나 아파트 등 장애물에 가로막히지 않고 도심 전체로 확산될 수 있는 방안을 위한 연구용역도 실시한다. 또 규모가 큰 공장이 밀집돼 있는 서대구·성서 산업단지 주변 17.3㏊에 국·시비 50억원을 들여 미세먼지 차단숲을 만들 예정이다.

충북도도 미세먼지 차단·저감을 위한 대규모 숲길을 조성한다. 먼저 올해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미세먼지 차단·저감숲 조성’ 관련 사업비 46억원을 편성할 계획이다. 노후 산업단지 등 미세먼지 발생원 주변에 숲을 조성해 미세먼지 흡착·흡수 효과를 높이겠다는 것이다. 올해는 청주시 흥덕구 청주산업단지(0.8㏊)와 음성군 금왕일반산업단지(3.6㏊) 등 2곳을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충북도는 또 내년도 국비 확보를 목표로 올해 말 산림청이 공모하는 ‘도시 바람길숲 조성 사업’에도 공모할 계획이다.

부산시도 2020년부터 2021년까지 도심 내 거점 녹지와 다양한 바람길숲을 조성하기로 했다. 앞서 부산시는 산림청의 도시 바람길숲 조성 사업 공모에 선정됐다.

부산시는 바람길숲 조성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실시설계와 공청회 등 준비 작업을 거쳐 2020년부터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한다. 먼저 올해 10억원을 투입해 사상공단에 미세먼지 차단숲을 시범 조성할 계획이다.

숲길 조성은 전국으로 확산될 전망이다. 산림청이 올해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60㏊ 규모의 미세먼지 차단숲 32곳, 도심의 열섬현상을 줄이는 바람길숲 11곳을 지원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가로수와 도시숲이 미세·초미세먼지 농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숲길 조성을 통해 폭염도시 ‘대프리카’의 오명을 벗고 미세먼지 문제도 해결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