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지식인 226명이 일제의 한국 식민 지배에 대한 반성과 사죄를 통해 남북한과 관련한 역사적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일본 정부에 강력히 촉구했다. 이들은 6일 발표한 ‘2019년 일본 시민 지식인 성명’에서 “‘무라야마 담화’와 ‘간 총리 담화’를 바탕으로 한 식민지 지배에 대한 반성과 사죄야말로 한·일, 북·일 관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열쇠”라고 강조했다. ‘무라야마 담화’는 1995년 무라야마 총리가 식민지 지배와 침략으로 아시아 제국(諸國)의 사람들에게 다대한 손해와 고통을 주었음을 반성하고 사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2010년 발표된 ‘간 총리 담화’에는 일제의 식민지 지배가 초래한 다대한 손해와 아픔에 대해 재차 통절한 반성과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사죄의 마음을 표명한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일본 지식인들은 “일제의 지배는 1945년 8월 15일 끝났지만 일본인은 국가, 국민으로서 한국 병합과 식민지 지배에 대해 반성하고 사죄하는 모습을 오랫동안 보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일본군 위안부와 강제징용 피해자 문제에 대해서도 일본 정부의 전향적인 대처를 주문했다. 이들의 성명은 인류의 보편적 양심에 기초한 것으로 구구절절이 옳은 내용이다. 이들이 ‘무라야마 담화’와 ‘간 총리 담화’를 거론한 것도 의미심장한 일이다. 모처럼 만에 바다를 건너 전해진 일본 지식인들의 올바른 역사 인식에 공감을 표시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도 아베 신조 총리와 일본 정부는 우호적인 여론을 조성하기 위해 과거 잘못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언행을 일삼고 있다.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 문제를 국제중재위에 회부하려고 준비하면서 국제중재위에서 결렬되면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우발적 충돌이 우려되는 초계기의 위협비행도 서슴지 않고 있다. 북핵 폐기를 위해 한·미·일이 공조해도 시원찮을 판에 한·일 관계를 악화시키고 있는 아베 총리는 일본 지식인들의 고언을 경청해야 한다. 한국 정부도 일본과 소통의 끈을 놓아서는 안 된다. 한·일 지식인들은 양국의 불편한 관계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북한을 포함해 전 세계 지식인들과 연대하는 방안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사설] 아베, 일본 지식인들 고언 경청해야
입력 2019-02-08 04:00